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창공의 군무 내마음 '훨훨'

창공의 군무 내마음 '훨훨' 탐조여행, 철원·천수만·금강하구등 가볼만 탁 트인 하늘, 수천 마리의 새가 한꺼번에 허공을 박차고 치솟아 군무를 펼치면 그 장관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그저 "아!" 하고 탄성을 지를밖에. 탐조여행의 계절이 찾아왔다. 내달초부터 내년 3월까지는 해마다 우리나라를 찾는 귀중한 손님인 겨울 철새를 맞는 시기. 열대와 한대의 건널목인 한반도는 세계적으로 드물게 많은 철새가 머물거나 지나가는 곳으로 이 기간 우리나라를 찾는 겨울 철새는 희귀조인 두루미(학)를 비롯해 청둥오리ㆍ고니 등 120여종에 500여만 마리이다. 자녀교육에 유익하고, 겨울철 가족여행으로도 안성맞춤인 탐조여행. 가볼만한 곳은 강원 철원 비무장지대, 낙동강 하구의 경남 을숙도, 경남 창원의 주남저수지, 충남 서산 천수만, 충남 서천 금강하구둑, 강원 강릉 경포호와 철원 민통선, 전남 순천만 등이다. ◇철원 비무장지대= 155마일 비무장지대에서 가장 넓은 철원평야는 벼농사를 짓는 곳이기 때문에 떨어진 이삭을 먹기 위해 철새들이 많이 찾는다. 토교저수지등 인근의 담수도 새들에게 좋은 서식환경을 제공한다. 소란스럽게 하늘을 떠다니는 기러기가 철원평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철새이다. 기러기는 경계심이 많기 때문에 사람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한 이곳이 최상의 서식지이기 때문이다. 천연기념물 제202호인 두루미(학)도 이 곳에서 관찰할 수 있는 철새이다. ◇서산 천수만= 충남 서산군과 홍성군 사이의 8㎞를 둑으로 막으면서 드넓은 논과 습지가 생겨 철새에게는 천혜의 보금자리를 되었다. 기러기ㆍ청둥오리ㆍ흰뺨검둥오리ㆍ 바다오리ㆍ논병아리류 등을 주로 볼 수 있다. 특히 오리 중에서 가장 작고 아름답다는 가창오리가 저녁노을을 배경으로 벌이는 군무는 일품이다. 서산 천수만은 조류 사진을 찍는데 최적의 장소이다. 넓고 인적이 없는 농로에서 사방을 돌아보며 새들의 생활을 관찰할 수 있다. ◇금강하구= 서천군 마서면 도삼리 금강하구는 90년부터 해마다 1만여마리의 철새가 날아오다가 95년에는 무려 2만여 마리의 철새가 날아와 손꼽히는 철새도래지로 자리잡게 됐다. 이 곳에 날아와 겨울을 나는 철새는 청둥오리ㆍ혹부리오리ㆍ가창오리ㆍ기러기ㆍ재갈매기ㆍ검은머리갈매기 등이 주류를 이룬다. 특히 검은머리갈매기는 세계적으로 3,000마리 미만이 남은 것으로 알려진 희귀조이다. ◇낙동강하구 을숙도=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큰 철새 도래지. 낙동강의 퇴적물이 한데 모여 새들의 먹이가 풍부한 곳이다.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이 곳의 새들은 99%가 물새류. 오리ㆍ도요새ㆍ물떼새ㆍ가마우지ㆍ백로류등이 주종이고, 흰꼬리수리등도 간혹 있다. ◇창원 주남저수지= 경남 창원시 동면에 조성된 100만평 규모의 인공저수지. 마산ㆍ 창원ㆍ진해시 일대의 농ㆍ공업용수를 위해 만들어졌는데 80년대 후반부터 새로운 철새도래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을숙도의 환경이 악화하면서 많은 철새들이 주거지를 이곳으로 옮기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많은 종류는 큰기러기와 쇠기러기. 많게는 2,000여 마리가 한꺼번에 날아오르기도 하는데 탄성이 절로 나온다. ◇강화도ㆍ불음도= 이 섬 곳곳에서 수십 마리씩 떼지어 지저귀며 서식하는 노랑지빠귀ㆍ홍여새ㆍ황여새 등 철새를 만날수 있다. 특히 화도면 간척지 갯벌에서는 쇠기러기ㆍ큰기러기ㆍ두루미등이 서식하며, 불음도로 건너가면 영뜰갯벌에서 노랑지빠귀ㆍ홍여새ㆍ황여새ㆍ쇠기러기ㆍ큰기러기ㆍ저어새ㆍ노랑부리백로ㆍ도요새ㆍ검은 머리떼새 등 다양한 철새를 관찰할 수 있다. ◇여주 신접리= 명찰 신륵사와 세종대왕의 영릉으로 유명한 여주군 북내면 신접리 일대는 본래 여름철새서식지로 잘 알려진 곳이지만 근래에는 우리나라를 찾는 황새목 백로과 4종 중 유일한 겨울철새인 대백로의 서식지로도 밝혀져 찾는 이들의 발길이 늘어나고 있다. 대백로는 우수리강과 아무르강 연안 초습지에서 번식하다가 우리나라에 겨울을 나러 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호방조제= 당진군 석문면 교로리와 서산시 대산읍 삼길포리에 걸친 대호방조제는 84년 11월 준공이후 겨울철새들이 날아오기 시작해 이제는 이름난 철새서식지가 되었다. 특히 대호방조제 중간지점인 초락도와 도비도 일대는 청둥오리를 비롯한 오리류가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현재 농어촌휴양지로 개발중에 있어 관광휴양지로 각광받을 전망이다. ◇순천만 갈대밭= 국제보호조류겸 천연기념물 228호인 흑두루미렸꼇促~ 140여종이 이곳 수백만평의 갈대밭 일대에서 겨울을 난다. 또 호주에서 시베리아로 이동하는 도요새들의 중간기착지로도 알려졌으며, 검은머리갈매기ㆍ청둥오리ㆍ쇠오리ㆍ혹부리오리ㆍ저어새ㆍ큰고니ㆍ장다리물떼새 등도 서식한다. 한편 한국조류보호협회는 12월 6일부터 내년 3월11일까지 10차례에 걸쳐 겨울철새 모이주기와 탐조행사를 마련했다. 문의 한국조류보호협회 (02)749-4747. 망원경 등 꼭 챙기고 붉은 옷은 삼가야 ■ 탐조여행, 이런점은 알고 가자= 멀리서 새의 움직임을 관찰해야 하므로 망원경은 필수품이다. 관찰 결과를 기록해 둘 노트와 카메라, 비디오 등을 가져가면 좋다. 새의 이름도 미리 알아두고, 귀찮아도 조류도감을 챙겨 가면 도움이 된다. 또한 주로 어두운 새벽이나 추운 겨울에 탐조활동을 하게 되므로 방한복과 방한화, 장갑 및 두툼한 양말 등을 준비하고, 늪 지대를 갈 때는 방한 장화도 필요하다. 여기에다 따끈한 물이나 차를 보온병에 담아가면 몸 녹이는데 요긴하고, 옥수수ㆍ밀 같은 철새들의 먹이를 가져가도 좋다. 하지 말아야 할 일도 많다. 우선 붉은색 계통의 옷은 절대 입어서는 안된다. 새들은 경계심이 강하기 때문이다. 후각이 예민한 새가 있으므로 여성들은 짙은 화장이나 강한 향수 등을 피하는게 좋다. 마찬가지 이유로 담배를 피우거나 소란을 피우는 일은 없어야 한다. 문성진기자 입력시간 2000/11/28 17:41 ◀ 이전화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