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모든 학생이 대입 전략을 짜는 데 지침이 될 6월 모의평가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왔다. 각 대학별로 수시모집 원서를 접수하는 시점은 9월이다. 바꿔 말하면 본인의 학생부와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쟁력을 감안해 정시와 수시 지원 전략을 최종적으로 수립하고 그에 따른 대비를 할 시간이 3개월밖에 남지 않았다는 얘기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입시 전략은 학생의 학업 역량 등을 바탕으로 아주 세심하게 짜야 한다”며 “경우에 따라 남은 기간 비교과 활동을 마무리하고 자기소개서를 다듬는 데 시간을 써야 할 학생, 논술 특강을 들어야 할 학생, 수능 공부에 매진해야 할 학생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조언했다.
◇수능에 비해 학생부 경쟁력이 낮다면=학생부 경쟁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내신 경쟁력이고 하나는 비교과 경쟁력이다. 만약 학생부교과전형으로 합격할 수 있는 대학이 수능으로 합격할 수 있는 대학보다 선호하지 않는 곳이라면 굳이 내신 경쟁력을 활용할 이유가 없다. 이 경우 정시를 목표로 수능 공부를 꾸준히 하되 논술전형 위주로 상향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논술전형 지원 대학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높은 동시에 수능 성적에 따라 논술 응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수능 후 논술고사 일정이 있는 대학이 적절하다.
◇학생부와 수능 경쟁력이 비슷한 경우=수능과 학생부 어느 한쪽의 우월을 판단하기 어려운 학생은 두 가지 방향으로 고민해볼 수 있다. 먼저 기준이 들쑥날쑥한 학생부보다는 수능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고 교과 성적만으로 평가하는 한양대 학생부교과전형은 인문계열 합격자의 최종 커트라인이 보통 1.2등급을 넘지 않는다. 다른 전형 요소를 보지 않는 만큼 교과 성적이 뛰어난 학생들이 대거 몰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까다로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은 최상위 학과인 의예과라 해도 합격자 커트라인이 1.5등급을 상회하기도 한다. 두 경쟁력의 우열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당장 수능 공부에 매진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 경우 수시 합격에 실패하더라도 정시도 충분히 노려볼 수 있다.
다음은 다른 전형 요소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미흡한 학생부 경쟁력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를테면 면접 실력 등을 기르는 것이다. 전형 방법이 ‘1단계 서류 100%, 2단계 서류+면접’으로 동일하다 해도 1단계 선발 배수가 커 2단계 면접의 변별력이 높은 전형들도 있다. 면접 경쟁력을 향상시킨다면 부족한 학생부 경쟁력을 보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자기소개서에 공을 들이는 것도 이런 전략의 일환이다. 1단계 배수에 선발될 자신이 있다면 당락을 가르는 2단계 전형 요소에 대한 준비도 고려해볼 만하다.
◇수능보다 학생부 경쟁력이 높을 때는=이런 경우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수시 6장의 카드를 신중하게 사용해 수시모집에서 승부를 보는 것이다. 수시 합격에 실패하고 정시로 지원한다고 가정할 때 추후 수능 경쟁력이 향상돼도 정시 지원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합격 가능성이 높은 수시 전형을 찾아 면밀히 분석하고 학교가 원하는 항목을 보완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제 와서 학생부 경쟁력을 크게 변화시킬 수는 없으니 3년의 교과·비교과 활동을 매끄럽게 마무리하고 대학의 주요 평가항목 중 학생부에 드러나지 않은 내용을 자기소개서나 면접 등을 통해 보여줄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수능·학생부 모두 경쟁력이 낮은 경우=자신의 모든 경쟁력이 목표 대학과 차이가 큰 학생은 입시 전략이 아닌 학습 계획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김 소장은 “상위권 학생은 차이가 발생하는 한 과목에만 시간과 노력을 ‘올인’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로 중하위권 학생은 모든 과목을 잘하려 들기보다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상위권의 경우 부족했던 과목을 잡으려다 믿었던 과목에서 구멍이 생기는 경우가 많고 중하위권 학생은 전체적인 성적 향상을 이루더라도 원서를 쓰기에는 뚜렷한 변별력이 없는 성적표를 받게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도움말=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