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족·핵가족화가 심해지면서 부모부양에 대한 국민들의 가치관도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연구원은 25일 ‘보건복지포럼’(2019년 5월)에 실린 ‘중·장년층의 이중부양 부담과 정책 과제’ 보고서(김유경 연구위원)를 인용해 “2018년 부모부양 책임자로 가족을 꼽은 비율이 26.7%였다”고 밝혔다. 이는 2006년 63.4%, 2010년 36.0%, 2014년 31.7% 에 이어 꾸준히 줄어든 수치다.
반면, 부모부양의 책임이 국가와 사회에 있다는 인식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사회 혹은 기타’에 부모부양의 책임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02년 19.7%에서 2018년 54.0%로 껑충 뛰어올랐다.부모님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대답도 2002년 9.6%에서 2018년 19.4%로 두 배 가량 높아졌다.
장남 또는 아들 중심의 가부장적 부모 부양관도 약해지는 추세다. 가족 중에서 누가 부모부양을 책임져야 할 것인지에 대해 ‘장남’이라 응답한 비율은 2002년 15.1%에서 해마다 줄어 2018년 1.3%로 쪼그라들었다. ‘아들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응답도 2002년 13.9%에서 2018년 1.0%로 크게 낮아졌다.
대신 ‘아들·딸 자녀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인식은 2002년 20.5%, 2006년 31.8%, 2010년 23.1%, 2014년 24.1%, 2018년 19.5% 등으로 나왔다.
보고서는 이런 수치에 대해 “소가족·핵가족화가 심해짐에 따라 사회규범과 제도가 변화하면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치관도 급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미경기자 seoule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