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절도범 잡고 보니...10명 중 6명은 1년내 재범

30%가 충동 못이긴 우발적 범죄...습관성 절도로 이어져

CCTV 보편화·현금 소지 인구 줄며 범죄 건수는 감소세

절도 범죄는 꾸준히 줄어온 데 반해 ‘제 버릇 개 못 준다’는 말처럼 절도범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 다시 남의 물건을 훔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대도(大盜)’로 이름을 날린 조세형(81)의 습관성 절도와 열여섯 번째 철창행이 통계적으로는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라는 얘기다.

대검찰청 범죄분석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절도 범죄는 18만4,355건으로 2013년 29만841건 대비 37%가량 대폭 줄었다. 반면 2017년 기준으로 절도범 중 1년 이내 다시 절도를 저지르는 경우는 59.4%에 달했다. 한 번도 절도를 저지르지 않을 수는 있어도 한 번 저지를 경우 조씨처럼 상습범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절도 범죄가 줄어든 것은 폐쇄회로(CC)TV와 차량 블랙박스의 보편화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방범용 CCTV 등이 늘어나면서 절도를 저지를 ‘감시 사각지대’가 줄어든 게 주된 이유로 보인다”며 “절도 범죄 30%가량은 청소년층에서 저지르는데 학령인구 감소로 이들의 수가 급격히 줄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절도가 줄었더라도 재범률은 높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2017년 기준으로 검거된 절도범의 경우 초범(44.2%)보다는 재범(55.8%)이 높았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대부분 절도범은 ‘훔치고 싶다’는 충동에 쉽게 굴복하는 경향이 커 재범의 길에 빠져든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들의 범행 동기는 우발적 동기가 30.8%로 가장 많았다. 사적 이익 19.4%, 생활비 마련 10% 순이었다. 경제적 곤궁보다는 견물생심(見物生心)이 주된 범죄의 동기로 분석됐다.

절도범 대부분은 남성이었다. 절도범 중 76.2%가 남성이었고 23.8%가 여성이었다. 남성 절도범의 경우 젊은 연령층에 몰렸다. 여성은 반대다. 남성 절도범은 40세 이상 비율이 43.2%인 반면 여성 절도범은 절반이 넘는 60.2%다. 이순래 원광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여성의 경우 생계형 절도일 가능성이 높다”며 “나이가 들수록 남성에 비해 안정적인 일자리를 갖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며 절도 범죄의 주 발생 시간대도 변했다.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심야 시간대에 발생하는 절도 범죄가 가장 많았지만 최근 들어 낮 시간대와 순위가 역전됐다. 2017년 기준으로 전체 절도범죄 중 31.7%는 정오~오후6시 사이에 발생했다. 오후8시~오전4시 사이는 30.7%로 그 뒤를 이었다. 서울청의 한 관계자는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낮 시간대에 빈집이 늘어나 절도범들의 타깃이 되고 있다”고 했다. 절도범이 범행에서 얻는 ‘수익’도 대부분 소액이었다. 10만원 이하 피해가 35.4%, 10만원 초과 100만원 이하 피해는 49.4%였다. 피해액이 100만원을 넘는 경우는 15.1%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절도를 막기 위한 자발적 노력과 동시에 절도범의 재범을 막을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 교수는 “문단속만 잘해도 침입 절도의 3분의1은 막는 만큼 생활 속 범죄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며 “절도는 심각한 범죄로 가는 출입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초기에 교화 프로그램을 통해 재범을 막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종갑기자 gap@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