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고전 통해 세상읽기] 화쇠엽사(花衰葉奢)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장

꽃나무 사시사철 볼거리 주는데

사람들 개화에만 온통 관심 가져

꽃은 시든 뒤에 잎이 활짝 피어나

전체를 보면 세상 보는 눈 넓어져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장




봄이 되면 온갖 꽃이 활짝 피어난다. 지방자치단체도 유채꽃이며 벚꽃이며 철쭉이며 각종 축제를 개최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 노력해왔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꽃 축제를 열지 못했다. 축제가 열리지 않고 코로나19 위세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지만 사람들은 봄을 즐기려는 상춘의 욕망을 누그러뜨리기가 쉽지 않다. 야외 활동하기에 적절한 날씨고 꽃까지 피었으니 밖으로 나가려는 욕망이 집에 머물러야 한다는 욕망을 이기는 것이다.

사실 꼭 명소나 축제로 알려진 곳처럼 멀리 찾지 않아도 얼마든지 봄꽃을 즐길 수 있다. 코로나19 상황을 생각한다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찾을 것이 아니라 집과 가까운 곳을 찾아 상춘의 아쉬움을 달래야 한다. 집 부근의 산과 공원, 동네의 산책길에서도 봄꽃을 만날 수 있다. 이렇게 봄꽃을 즐기면 밀집과 밀접의 상태에서 전염되기 쉬운 코로나19 방역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집 주위의 장소를 익히는 재미를 누릴 수도 있다.



학교생활을 하다 보면 봄꽃의 개화와 중간고사 시기가 겹쳐 꽃구경을 놓치기가 쉽다. 올해는 매화·산수유·목련·개나리·진달래 등의 봄꽃이 순서도 없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평소보다 일찍 피고 주말마다 봄비가 내린 탓에 만개한 꽃이 일찍 시들어 많은 아쉬움을 자아냈다. 그렇다고 시절과 봄비를 탓하며 아쉬움만 토로할 수는 없다. 아직 주위에 남아 있는 꽃을 천천히 둘러보고 꽃이 지고 돋아나는 여린 새싹을 보면 그것으로도 나름의 재미가 있다.

조선 시대 정약용도 ‘지각절구(池閣絶句)’라는 시에서 사람들이 봄에 피는 꽃만 다들 아름답다고 할 뿐 꽃이 진 뒤 움이 돋아났다가 어느 틈에 잎이 가지를 뒤덮는 생태는 모른다는 내용의 시를 읊은 적이 있다. “꽃 심은 사람들 꽃구경할 줄만 알지(종화인지해간화·種花人只解看花), 꽃 시든 뒤에 잎이 무성해지는 걸 모른다네(불해화쇠엽갱사·不解花衰葉更奢). 한 차례 장맛비 퍼부은 뒤에(파애일번림우후·頗愛一番霖雨後), 여린 가지마다 어여쁜 노란 새싹 일제히 돋아난다네(약지제토눈황아·弱枝齊吐嫩黃芽).”



꽃을 심어본 사람들이라면 봄을 더 기다린다. 올해도 자신의 꽃나무에서 예전처럼 아니면 처음으로 예쁜 꽃이 피어날지 손꼽으며 기다리게 된다. 특히 어디에 꽃이 피었다는 소식을 듣거나, 오가며 산과 들에 핀 꽃을 봤다면 더더욱 꽃나무 주위를 서성거리게 된다. 나무에 따라 진달래처럼 꽃이 나고 잎이 나기도 하고 철쭉처럼 잎이 나고 꽃이 피기도 하는데 자신이 심은 나무에는 꽃이 언제 얼굴을 내밀지 애가 타는 것이다.

정약용도 꽃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사람들이 온통 꽃에만 관심을 두는 세태에 관해 평소 ‘이건 아니다’라는 심정을 강하게 느낀 듯하다. 굳이 ‘꽃이 아무리 오래 피어도 십 일을 넘기지 못한다’는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개화는 나무의 일생에서 짧은 시간에 지나지 않는다. 꽃이 지나고 난 뒤 나무는 온몸으로 한여름의 뙤약볕을 견뎌내며 자신을 키우고 가을이면 결실을 맺고 겨울이면 추운 날씨를 이겨낸다. 이때 잎은 꽃나무의 종을 번식하는 꽃에 못지않게 생명을 유지하는 데 엄청난 일을 한다. 이 때문에 정약용은 ‘꽃’나무 구경이 끝나고 나면 사람이 더 이상 꽃‘나무’에 관심을 두지 않는 세태가 서운하다고 느낀 모양이다.

정약용은 사람들에게 꽃나무의 꽃만 볼 것이 아니라 나무의 가지에 움이 돋고, 비가 내리고 나면 잎사귀가 활짝 피어나는 시간의 흐름을 들여다보라고 시선의 전환을 제안하고 있다. 이 시가 노란 새싹의 황아에서 끝나지만 시인은 관심을 여기에만 둘 것이 아니라 그 뒤의 과정을 함께 상상하도록 만들고 있다. 꽃나무는 봄철 한때의 짧은 시간만이 아니라 사시사철 사람에게 볼거리를 주는 셈이다. 정약용은 꽃나무의 부분과 개화의 국면에만 갇히지 말고 전체와 생태를 보는 눈을 뜨라고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건네고 있다. 앞으로 봄에 화무십일홍만이 아니라 화쇠엽사(花衰葉奢)를 같이 읊조린다면 세상을 보는 눈이 더 넓어지리라.

/여론독자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