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8월까지 전국 아파트 일반 분양 물량 가운데 서울이 차지하는 비중이 2%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만 요란한 공급에 분양가상한제 등 규제까지 겹치면서 서울 아파트 분양 시장이 꽁꽁 얼어붙은 모양새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1~8월 서울 아파트 일반 분양 물량은 2,855가구로 조사됐다. 이 기간 동안 전국에서 일반 분양된 물량(16만 4,556가구)의 1.7% 수준이다. 조합원 물량 등을 합친 전체 분양 물량도 6,872가구로 전국(25만 1,012가구) 대비 2.7% 수준에 그쳤다.
쥐꼬리 물량에다 공급의 질도 좋지 않았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해 8월까지 신청을 받은 서울 아파트 단지는 총 10곳이다. 이 중 절반은 일반 분양으로 공급된 평형이 전용 60㎡ 이하 소형이었다. 아울러 일반 분양 물량이 대부분 100가구 이하였다. 강남에서 나온 래미안 원베일리의 경우 전 평형 분양 가격이 9억 원을 넘어 중도금대출을 받을 수 없는 등 일반 예비 청약자가 지원할 수 있는 단지가 극히 적었다.
시장에서는 앞으로 서울의 아파트 분양이 더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교통부 주택 인허가 실적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이후 서울 아파트 건설 인허가 물량은 매년 3만 가구대를 유지하고 있다. 통상 주택 건설 인허가에서 분양까지는 4~5년가량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 분양하는 아파트는 대부분 이전에 인허가를 받은 단지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경영학과 교수)은 “지금과 같은 ‘공급 절벽’ 현상의 배경에는 정부 규제가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의 주택 공급은 대부분 정비 사업을 통해 이뤄질 수밖에 없는데 주택 인허가 실적 또한 줄어들고 있는 만큼 민간과의 협력을 통한 주택 건설에 나서지 않으면 시장에서 원하는 양질의 아파트 공급은 앞으로도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