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 경제에 각종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대중(對中) 수출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생산거점이 중국에서 동남아나 인도 등으로 계속 이동하는 만큼 향후 대중 수출이 확대되더라도 우리나라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3일 한국은행은 ‘대중 수출의 구조적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경제가 둔화될 경우 우리 대중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중국 내수 지표 둔화에도 우리나라 대중 수출은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중국의 헝다그룹 파산 위기, 전력난, 기업규제 강화 등 각종 리스크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 대중 수출 총액은 다국적 기업의 생산거점 이동과 중국의 자급률 상승 등으로 2010년 이후 정체된 상태다. 2010년 이후 수출 규모는 1,400억 달러 안팎에서 수출 비중은 25% 내외에서 오르내리기를 반복 중이다. 이는 중국의 생산비용이 오르면서 생산기지 비교우위가 약화돼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이 동남아로 진출했고, 중국 자급률이 오르면서 우리 제품에 대한 수요도 낮아진 영향이다.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대중 경쟁력 우위 품목인 석유화학, 기계류, 철강 등에 집중돼 있다. 이는 중국의 산업구조가 고도화하면서 양국 간 교역이 보완 관계에서 경쟁 관계로 점차 변했기 때문이다. 특히 반도체는 우리 기업이 기술경쟁력 우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대중 수출 가운데 반도체 비중은 2010년 15.1%에서 2020년 31.2%로 급등한 바 있다.
문제는 중국의 소비 확충에도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 대중 수출의 소비재 비중은 3.8%로 중간재가 80.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한 중간재는 중국의 수출 최종재 생산에 활용되는 구조다.
한은은 중국 경제 둔화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에 영향이 불가피하지만 글로벌 반도체 수요와 중국 수출의 견조한 흐름이 중국 내수 둔화의 부정적 충격을 어느 정도 상쇄할 것으로 봤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 기업을 포함한 다국적 기업들이 글로벌 생산거점을 동남아, 인도 등으로 계속 이전하고 중국 자급률도 고부가가치 제품까지 확산되는 양상”이라며 “대중 수출이 과거와 같이 추세적으로 확대되면서 우리나라 수출의 빠른 증가를 견인하긴 어려울 전망”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