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백병원 폐원 막자" 서울시 이어 후손들도 나섰다…상황 반전될까

백진경 인제대 교수, 3일 후손 대표로 서울시와 미팅

서울백병원 재건 계획 공유…인제대 총장선거 출마 예고

지난달 서울 중구 서울백병원 앞에서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가 연 '서울백병원 폐원 저지 공동대책위원회 발족 및 일방적 폐원 안건 상정 철회 촉구 기자회견'에서 조합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폐원 위기에 놓인 서울백병원을 살리기 위해 병원 설립자 후손들이 팔을 걷어붙였다. 폐원 직전 이사회를 막아섰던 서울시와 만나 서울 명동에 인접한 지리적 특성과 원격의료 서비스 등 새로운 사업모델을 통해 의료관광 특화 병원으로 탈바꿈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안했다.

백병원 설립자 후손 대표인 백진경 인제대 멀티미디어학부 교수는 3일 서울시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서울 근대화의 중요한 유산인 서울백병원의 폐원은 귀중한 역사의 손실”이라며 “경영 악화 등을 이유로 폐원할 경우 도심 공동화를 부채질하고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할 뿐 아니라 일산백병원 등 나머지 4곳의 형제병원과 인제대까지 동반 침체돼선 안된다는 생각에 의료진들과 뜻을 모으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백 교수는 고 백낙환 인제학원 이사장의 차녀이자 백인제 선생의 조카다. 백 교수는 이날 서울백병원 폐업이 이사회의 결정일 뿐, 설립자 가족들의 뜻은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그는 “병원 설립자인 큰할아버지(백인제 선생)와 선친은 병원을 사유재산이나 수익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며 "재단 산하 5개 병원 모두 대학병원으로서 공공재 역할이 있지 않나. 선친들은 용도 변경이 가능해졌다고 해서 상업용지로 변경해 매각하거나 폐원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영규 인제대 서울백병원 교수협의회장, 장여구 인제의대 교수노조 서울백병원 지부장(외과 교수) 등 의료진들도 후손들과 함께 서울백병원 재건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1941년 백인제외과병원으로 문을 연 서울백병원은 2004년 73억 원의 손실을 낸 뒤 20년 동안 적자 규모가 1745억 원까지 불어났다. 이사회는 2016년 경영정상화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어 구조조정 및 병원 리모델링 등의 자구 방안을 7년간 시행했지만 흑자 전환에 실패했다. 요양병원, 전문병원 등 다른 용도의 의료기관으로 전환하는 등 병원 회생 방안도 강구했으나 외부 경영 컨설팅 업체로부터 투자 비용 대비 이익이 크지 않다는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지난달 20일 서울 중구 백병원 건물에서 이사회를 열어 경영정상화 태스크포스(TF)가 제안한 ‘서울백병원 폐원안’을 통과시킨 상태다. 하지만 교수진과 병원 직원들은 경영진이 백병원 부지의 상업용도 전환을 겨냥해 손실을 과도하게 부풀려 폐원을 결정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백 교수는 이날 기자들과 만남에 앞서 강철원 정무부시장과 미팅을 갖고 서울백병원 회생을 위한 비전과 계획을 공유했다. 서울 도심에 있는 서울백병원의 입지 조건을 고려할 때 건강검진 등 외국인 관광객에 특화된 의료서비스 센터로서 적합하다고 보고, 글로벌 K메디칼 허브(가칭)를 구축하겠다는 미래 비전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원격의료 서비스 사업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튀르키예 지진 복구 등을 지원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겠다는 복안이다. 오는 8월로 예정된 인제대 총장 선거에 출마해 대학과 병원 위기 극복을 도모하는 한편, 국내외 기업 및 투자자들과 함께 백병원을 살리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겠다고도 밝혔다.

서울시도 서울백병원이 존속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민선8기 취임 1년 기자간담회에서 “서울백병원 부지의 토지이용을 종합의료시설로 결정한 후에 감염병 관리시설 필수의료시설로 지정하면 용적률 완화가 가능하다”며 “경영을 위한 투자를 끌어내는 마중물 역할 등 백병원이 의료기능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앞서 이사회 당일 서울백병원 부지를 의료시설로만 쓸 수 있게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공익성을 빌미로 사유재산을 침해했다는 논란도 불거졌다. 서울백병원 이사회가 페업 결정을 내린 가운데 서울시와 후손들이 회생작전에 나서면서 상황이 반전될 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