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자동차산업의 위기를 단순한 방어가 아닌 미래로의 도약 기회로 삼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라는 외부 충격이 지역 산업에 그림자를 드리운 가운데 시는 4265억 원 규모의 ‘부산 자동차산업 위기극복·미래도약 대응전략’을 본격화 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전략은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부산 자동차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데 초점을 맞춘 3대 전략과 7대 세부과제가 담겼다.
단기적으로는 1000억 원 규모의 시설투자자금 지원 등으로 기업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부품기업의 판로 확대와 대체부품 개발 등 사업 다각화를 지원한다. 최근 편성된 정부 추경예산 정책자금이 지역기업에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이는 미국발 관세 충격에 즉각 대응해 지역 기업의 생존을 돕는 안전망이자 반복되는 외부 변수에 더 이상 휘둘리지 않겠다는 시의 복안이다.
시의 시선은 단기적 위기 극복에만 머물지 않는다. 시는 미래차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미래차 전동화 부품 개발, 초대형 차체 일체화부품(자이언트캐스팅) 개발,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PBV(목적 기반 차량) 등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더 나아가 미래차 전용플랫폼 지원, XR(확장현실) 기반 디지털트윈 시스템, 배터리·모터 안전성 시험센터, 사이버보안 검증센터 등 미래차 전환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병행한다. 여기에 미래차산업 육성 로드맵 수립, 정부연구기관 분원 유치 등 범정부 지원대책과 연계한 대응 기반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물류 혁신과 산학연 협력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쟁력도 끌어올릴 방침이다. 부품기업의 물류비 절감을 위해 AI 기반 디지털 공동물류 플랫폼을 구축하고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항만 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자동차 분야 산학연관 협의체를 구성해 글로벌 미래차 허브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혁신센터와 완성차기업 연계 인재양성 시스템도 구축한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대책은 관세전쟁의 위기에서 지역 기업을 보호하는 장치이자 미래로 도약하는 출발점”이라며 “민간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차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