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14일 “통상환경 변화로 인한 수출 부문의 고용 부진이 시차를 두고 연관 산업과 소상공인에까지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김 직무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모두발언을 통해 “제조업 고용은 내수회복 지연과 대외 불확실성이라는 이중고 속에서 부진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올해 4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 4000명 증가했지만 제조업과 건설업 분야에서 취업자의 감소세가 이어졌다. 그중에서도 제조업 취업자가 12만 4000명 줄어 2019년 2월(-15만 1000명) 이후 6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김 직무대행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 합의에도 불구하고 아직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정부는 우리 경제가 불확실성의 터널을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과의 통상협의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관세 피해와 내수 부진 등으로 어려움이 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차전지,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산업 상태계도 차근차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관세 대응 중소기업 추가 지원 방안,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른 제3국 및 국내 경쟁 심화 분석·대응 전략,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추진 방안 등이 논의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