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이 돌아가며 사비를 지출해 간부의 식사를 챙기던 관행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사혁신처와 행정안전부는 지난 4월 합동으로 실시한 ‘간부 모시는 날’ 실태조사 결과 최근 1개월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응답자가 11.1%를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조사 결과보다 7%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간부 모시는 날은 직원들이 사비로 순번을 정해 간부의 식사를 모시는 관행을 가리킨다. 이번 조사는 중앙·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자인사관리시스템(e-사람, 중앙)’ 및 ‘인사랑(지자체)’ 체제(시스템)를 통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총 11만 3404명(중앙 2만 8809명, 지자체 8만 4595명)이 참여했다.
전체 응답자 중 32.8%는 지난 조사 후 ‘간부 모시는 날’이 줄어들고 있다고 인식했다. ‘원래 없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전체의 48.1%였다. 여전히 남아있는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는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42.9%)’을 꼽았다.
간부의 직위는 부서장(과장급)이 75.9%로 가장 높았고, ‘간부 모시는 날’이 지속되고 있는 원인으로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조직 분위기와 관행(35.8%)’을 지적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또 전체 응답자의 75.6%는 간부-직원 간 건전한 대화와 소통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상하 간 소통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사처・행안부・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해 11월 조사 이후 ‘간부 모시는 날’ 근절을 위한 대책회의와 현장간담회를 열어 기관 차원의 개선을 권고한 바 있다. 특히 권익위는 이달 말까지 관행적 부패·갑질행위 등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행위에 대한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 중이다. 지자체 ㅈ차원의 사례도 있다. 충남 청양군의 경우 조직문화 혁신(간부 모시는 날 제로화)을 위한 ‘행정 프로(PRO, Perfect·Reduce·Open) 운동’을 추진해왔다. 전북은 자체 실태조사 실시·간부회의 시 관련 내용을 공유·논의하는 등 지자체에서도 근절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용수 인사처 차장은 “전자인사관리시스템(e-사람) 내 익명 신고센터 설치 등 후속 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해 불합리한 관행을 완전히 근절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