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가 15일 의료공백 보완 대책을 마련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문에 공감하며 "조속한 의료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건의료 전문가 단체로서 올바른 정책·제도가 마련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의협은 이날 낸 입장문에서 "의료사태의 긴 터널 속에서 국민 건강을 염려해 묵묵히 고통을 감내해 주신 국민 여러분께 진심 어린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의협은 "의료 정상화는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며 "무엇이 정말 필요한 정책인가를 서로 논의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문가 의견이 존중되는 환경, 생명을 살리는 데 주저 없이 달려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의대생의 복귀 선언을 환영하며 "지역·필수·응급의료 공백에 대한 면밀한 보완 대책을 관련 부서에서 서둘러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의협은 "치열한 고민과 갈등을 겪어야 했던 의대생 여러분께 따뜻한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며 "무너진 교육 현장을 복구하고자 고군분투하신 전국 의대 학장님들과 교수님들께도 감사드린다"고 했다.
1년 5개월 넘게 이어져 온 의정갈등은 새 정부 출범 이후 변곡점을 맞았다.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지난해 2월부터 수업을 거부해 온 의대생들이 지난 12일 전원 복귀를 선언한 데 이어 전공의들의 복귀 논의도 급물살을 탔다.
전공의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일(14일) 정치권과 만나 수련환경 개선 등을 놓고 대화한 데 이어 이날 오후 의협, 대한수련병원협의회와 비공개 간담회를 갖는다. 수련병원협회의는 인턴과 레지던트들이 근무하는 전국 수련병원들의 협의체로, 전공의 복귀 이슈와 관련한 직접 당사자다. 이번 간담회에선 사직 전공의들이 원래 수련을 받던 병원으로 돌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의협과 수련병원협의회는 전날 먼저 간담회를 열고 전공의들이 수련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의대생들의 교육 및 전공의들의 수련을 담당하는 의대교수들도 이를 환영하고 나섰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전공의들이) 국민적 신뢰 회복과 의료현장의 재건을 위한 적극적인 소통에 나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성원한다"며 "의대 교수들은 수련 환경을 개선하고 수련의 연속성을 보장해 양질의 전문 의료 인력을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