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의 대출총량 규제 강화에 하반기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기존 계획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일부 은행은 대출 한도를 확대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당국은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최근 금융 당국에 새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치를 제출했다. 지난달 발표된 ‘6·27 가계대출 관리 방안’에 따른 것이다.
이번에 제출된 5대 은행의 올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는 약 3조 6000억 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6·27 대책’ 전 5대 은행이 계획한 올해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액은 7조 2000억 원 수준으로 이의 절반에 불과하다. 은행별로 구체적인 목표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상반기 가계대출 실적에 따라 축소율이 차등 적용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상반기에도 주택담보대출을 거의 늘리지 못한 은행들은 하반기 한도를 늘려 달라는 입장이다. KB국민은행과 신한, 하나은행은 상반기 한도조차 채우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국이 지난해 말부터 수시로 창구 지도를 하면서 올해 자체 상품을 거의 취급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당국은 금융권 전체 하반기 대출 한도는 예고한 대로 줄이되 상반기 실적을 감안해 은행별로 한도를 차등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상반기 실적이 미미한 은행에 대해서는 추가 한도를 부여하고 과도하게 취급한 곳에 대해서는 페널티를 부여하는 식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상반기 대출 취급 실적을 감안해 하반기 한도를 배분할 것”이라면서 “상반기에 한도 대비 취급하지 못한 금액을 고스란히 보전해주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