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취임 첫 행보로 ‘인공지능(AI) 바이오’ 전략 마련에 나섰다. AI를 단순히 개발하는 것을 넘어 바이오를 포함한 연구현장에 적극 도입해 과학기술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과기정통부는 배 장관이 21일 서울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주요 바이오 벤처 기업을 방문하고 AI 바이오 분야 육성 방향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이 자리에서 “AI는 단순한 연구 보조의 역할을 넘어 연구자들의 진정한 파트너가 될 것이다”며 “AI와 함께하는 첨단바이오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와 함께 AI 컴퓨팅 인프라, 바이오 데이터 개방, 융합형 인재 양성, 규제개선 등 전 주기적 지원을 통한 생태계 조성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를 통해 AI 바이오 기술 개발과 바이오 데이터 전주기 지원 등을 위한 ‘AI 바이오 국가전략’을 준비하겠다”며 “국민들은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신약과 개인 맞춤형 치료로 건강한 삶을 실현하고 기후변화·식량문제 해결 등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사회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또 AI 바이오 연구개발의 연속성 확보, 고성능 AI 컴퓨팅 자원과 바이오 실험·제조 자동화 인프라 확충, 의료·바이오 데이터의 안전하고 유연한 활용을 위한 제도 정비, ‘AI+바이오’ 융합형 인재 양성, 병원·기업·대학 간 실질적인 협력 모델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그는 앞서 AI와 바이오 분야 융합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정부 제1호 공약인 ‘AI 3대 강국 도약’을 실현하려면 AI를 과학기술과 산업계에 적극 확산해야 하며 특히 바이오는 전 세계적으로 AI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라는 것이다. 지난해 구글 딥마인드 연구진에게 노벨화학상을 안긴 단백질 구조 예측 모델 ‘알파폴드’가 대표적이다. 배 장관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직후인 지난달 24일 취재진을 만나 “알파폴드가 나온 것도 기초과학 연구가 기반이 됐다”며 “기초과학과 AI 생태계를 연결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