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파르게 다시 늘어나는 가계대출 증가세를 잡기 위해 주요 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높이는 추가 규제에 나섰다.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까지 종류를 가리지 않고 총량 관리를 강화하는 모양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오는 14일부터 10월 말까지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자금대출 신청 접수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대출모집인은 은행 소속이 아닌 외부 인력으로 은행과 계약을 맺고 돈이 필요한 금융소비자의 대출 상담 및 신청서 접수, 전달 등 위탁 받은 업무를 맡는 사람이다.
신한은행은 이미 지난달 16일 이미 대출모집인의 8∼9월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실행분 접수를 막았는데, 이를 전국 전세자금대출까지 확대한 것이다.
또한 신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모기지보험(MCI) 취급도 일시 중단한다. MCI는 대출 시 소액임차보증금을 공제하지 않도록 하는 보험으로, 이 보험이 없으면 사실상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한다. 신한은행 측은 "가계대출의 안정적 관리와 실수요자 위주 공급 원칙을 지키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IBK기업은행도 이날부터 규제를 강화했다. 다른 은행에서 넘어오는 대환 목적의 전세대출을 중단했으며 비대면 전세대출 상품의 금리 자동 감면 폭을 0.2%포인트 축소했다. 이는 소비자 입장에서 실질적인 금리 인상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은행들의 움직임은 8월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폭발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7일 기준 760조 8845억 원으로 7월 말 대비 불과 일주일 만에 1조 9111억 원이 급증했다.
이는 하루 평균 2730억 원씩 늘어난 것으로 정부의 '6·27 가계대출 관리 방안' 발표 후 증가세가 주춤했던 7월(일평균 1335억 원)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현재 추세가 이어진다면 8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8월(9조 6259억 원) 이후 가장 큰 규모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주담대와 전세대출을 조였지만 그 수요가 신용대출로 옮겨가며 전체 가계대출이 늘고 집값도 잡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