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F)로의 매각이 된다는 정부 방침이 확정만 되면 참여한다." 우리금융 인수전에 뛰어든 PEF들로부터 전략적투자자(SI)나 재무투자자(FI)로 참여해줄 것을 구애받고 있는 금융회사들은 요즘 고민이 많다. 참여조건 등이 까다로워서가 아니다. 그들에게 더 관심은 정부의 입장이다. PEF에 대한 부정적 여론은 그렇다 치더라도 입찰이 계속되고 있지만 정작 금융 당국의 속내를 도무지 알 수가 없다는 얘기다. 원매자들은 이 때문에 우리금융을 PEF로 넘길 것인지 당국이 하루빨리 '확답'을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고펀드로부터 SI 참여를 요청받은 한국투자금융지주의 한 고위관계자는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지만 관건은 정부가 PEF로의 매각을 결정했는지가 가장 중요한 판단요소"라고 말했다. PEF로부터 인수 참여 요청을 받은 지방은행의 한 관계자도 "곧 최종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면서도 "PEF로 팔 것인지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서지 않은 상태에서 무턱대고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어서 여러 루트를 통해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권이 정부의 입장을 기다리는 것은 자칫 괜한 헛수고만 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부산ㆍ대구은행은 PEF에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다. 차후 경남은행을 분리매각할 때 주도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PEF에 참여했다가 인수도 못할 경우 "펀드와 결탁해 '경남의 상징 금융회사'를 빼앗으려 한다"는 욕만 먹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다른 지방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헛수고는 그렇다 치고 자칫 경남 지역의 정치권 인사나 여론의 눈 밖에 나는 것 아니냐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에도 정작 당국은 PEF로의 매각 여부에 신중하다. "PEF가 제출한 예비입찰서류를 보고 인수 자격을 판단하겠다"는 원칙을 반복한다. 한 고위당국자는 "예비입찰서류를 까다롭게 요구하고 있다"면서 "자금심사는 보수적이고 엄격하게 할 것이고 누가 봐도 수긍할 기준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입찰안내서를 통해 유한책임투자자(LP)들로부터의 투자의향서는 물론 투자금액, PEF 컨소시엄 구성, 배당 규모, 경영진 구성, 인수 후 투자기한도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했다. LP들이 PEF에 중복투자하는 것도 금지했다. PEF에 넘기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MBK파트너스와 보고펀드ㆍ티스톤 등은 오는 17일까지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