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매각을 두고 주요 채권은행인 외환은행과 산업은행이 갈등을 빚고 있다. 외환은행이 서둘러 매각하자는 입장인 데 반해 산업은행은 매각에 미온적이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 매각 작업이 상당 기간 지연되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외환은행, 주주협의회 개최 강행=외환은행은 지난 26일 “오는 4월 초 주주협의회를 개최해 현대건설 매각절차 착수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외환은행이 현대건설 매각 강행 의지를 표시한 것은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작업에 착수함에 따라 현대건설 매각이 늦춰질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외환은행은 당초 이달 28일 운영위원회를 소집해 현대건설 매각자문사 선정 등의 안건을 공식 상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산업은행은 “운영위원회 개최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의한 바 없다”며 “현재 구체적인 매각절차를 진행할 계획이 없다”고 제동을 걸었다. ◇현대건설은 ‘뜨거운 감자(?)’=산업은행이 현대건설 매각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정치적인 변수가 많이 작용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유력하다. 현대건설은 이명박 대통령이 15년 이상 최고경영자(CEO)로 재직한 곳일 뿐만 아니라 정몽준 의원이 대주주인 현대중공업도 유력한 현대건설 인수 후보로 꼽히기 때문이다. 더욱이 4월 총선 이후 일부 국책은행장이 교체될 것이라는 루머도 무성하다. 김창록 산업은행 총재의 임기는 11월 만료된다. 따라서 산업은행으로서는 굳이 현대건설 매각을 서두를 필요가 없는 것으로 지적된다. 금융계에서는 산업은행이 부담이 덜한 ‘대우조선 매각 카드’를 꺼내든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물론 산업은행은 이 같은 정치적 해석에 손사래를 친다. 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외환은행은 빨리 팔고 이익을 챙기겠다는 입장이지만 옛 사주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매각절차에 들어갔다가 복잡한 법적ㆍ사회적 논란이 불거지면 산업은행이 가장 큰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만큼 현대건설 매각은 부담스럽다는 얘기다. ◇정부 의지가 가장 큰 변수=산업은행이 반대하는 만큼 주주협의회의 자율적인 협의만으로는 현대건설 매각작업이 제대로 진행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우리은행(지분 14.38%)도 선뜻 동의하기에는 힘들 것으로 지적된다. 금융계에서는 정부가 현대건설 매각 문제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확실한 시그널을 보내지 않는 이상 산업은행이 움직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정부가 현대건설 매각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해야 산업은행도 행보를 취할 것이라는 얘기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현대건설 매각 문제는 결국 정치 논리로 풀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정부가 ‘매각 이후 발생할지 모르는 문제들을 은행들이 떠안지 않도록 한다’고 약속하지 않는 한 매각은 늦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