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Relax Friday] 문화·자연의 향기 그윽한 순천

시간을 거슬러 선사·조선시대로<br>갈대열차에 몸 싣고 생태체험…<br>'무진기행'서 만난 해넘이 장관

낙안읍성 서남쪽 오르막에서 본 읍성의 전경

순천만 갈대산책로의 풍경

순천 와온해변의 일몰

오랜 역사를 간직한 낙안읍성 인근에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전시한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이 있다. 지난 2011년 개관한 이곳은 평생 우리 것을 사랑하고 지키고자 한 고(故) 한창기 선생의 열정이 깃든 공간이다.

1976년 월간 문화 종합지 '뿌리깊은나무'를 창간한 한창기 선생은 1936년 벌교에서 태어났다.

황토빛 낙안읍성의 고풍스런 자태
청자 등 시대별 유물 보며 역사탐방


그는 유창한 영어 실력과 세일즈 실력으로 브리태니커 한국 대표이사를 역임한 것으로 유명하다. 업계 정상에 섰지만 정작 그는 전통과 문화에 관심이 있었다.

선생은 브리태니커백과사전을 팔아 많은 수익을 남겼는데 영국으로 수익금 대신 편지를 보냈다. 백과사전을 판 수익금으로 한국 전통문화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 편지다. 판소리다섯마당의 음반과 악보를 남긴 것, 100회에 걸쳐 판소리음악회를 연 것, 잎차와 다기와 반상기를 보급한 것 등이 선생이 시작한 한국 전통문화 사업이다.

'뿌리깊은나무'에는 전통문화를 되살리려는 선생의 관심과 애정이 오롯이 담겨 있다.

한글ㆍ한자 혼용, 세로쓰기 방식이던 당시 신문이나 잡지와 달리 한글 전용, 가로쓰기 방식을 처음 선보였다. 잡지는 안타깝게도 신군부가 들어서면서 1980년 8월 강제 폐간됐다.

한 선생이 창간한 잡지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뿌리깊은나무박물관에는 유물 전시실과 야외 전시 공간, 백경 김무규 선생 고택이 들어서 있다. 유물 전시실은 선생이 만든 잡지의 이름을 따 각각 뿌리깊은나무(상설 전시실), 샘이깊은물(기획 전시실), 배움나무(세미나실)로 나뉜다. 전시실에는 유물 800여점이 전시돼 있다.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의 기와ㆍ옹기ㆍ토기에서 청자, 백자, 불교 의식 용구, 민속용품까지 분야도 다양하다. 문화재급 유물도 있지만 아직도 온기가 남아 있을 것 같은 서민 생활용품도 많다. 서까래의 목재를 보호하기 위해 끼우던 서까래막새, 청동기시대의 별 모양 돌도끼, 한글과 한자가 혼용된 '정순왕후국장반차도' 등 특이하면서도 희소가치 있는 유물들이다.

"의미 있는 일이라면 돈을 낙엽처럼 태울 줄도 알아야 한다"던 선생은 평생 홀로 지내면서 문화재를 수집했고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도 문화재를 보듬었다. 선생이 마지막으로 수집한 문화재는 백자청화 매죽문 필통이었다. 선생은 1997년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고 유산은 성북동 자택 한 채가 유일했다. 하지만 선생이 평생 수집한 문화재 6,500여점은 이제 우리의 유산이 됐다.

박물관 주변에 한옥 한 채가 있다. 1920년대에 지어진 백경 김무규 선생 고택으로 전남 구례에서 옮겨왔다. 영화 '서편제'에서 주인공 송화가 눈먼 뒤 아버지 유봉과 함께 머물던 곳으로 하얀 한복을 입은 이가 사랑채 누마루에 앉아 거문고를 타자 유봉이 구음을 부르는 장면이 이 집에서 촬영됐다. 고택은 전형적인 양반 상류 주택으로 사랑채와 안채, 사당으로 구성됐다.

노랑부리저어새·흑두루미·청둥오리…
선상투어로 즐기는 철새 군무 볼만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인근에는 낙안읍성이 있다. 순천 낙안읍성은 1983년 사적 302호로 지정됐는데 사적으로 지정되기까지 한 선생이 기여했다고 한다. 낙안읍성은 성곽을 따라 한 바퀴 돌아보는 것이 가장 좋다. 특히 서문을 지나 남문으로 내려오는 돌계단에서 낙안읍성의 풍경이 가장 잘 보인다. 남문까지 길게 이어진 성곽 길과 초가집, 흙길 등 온통 누런빛이 감도는 읍성의 풍경이 예스럽다.

낙안읍성의 진산인 금전산 자락에는 금둔사가 있다. 임권택 감독이 이곳에서 그의 100번째 영화 '천년학'을 촬영했다. 금둔사에는 토종 매화 100여그루가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찍 꽃을 피우는 납월홍매가 있다. 이르면 양력 1월 말에 꽃이 핀다.

순천만자연생태공원은 자연경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갯벌과 갈대가 어우러진 생태계의 보고다. 갈대 데크를 따라 용산전망대까지 다녀오는 것은 순천만 여행의 필수 코스다. 생태 체험선과 갈대 열차도 타보자. 생태 체험선을 타면 순천만의 S자 갯골을 따라 나갔다가 대대선착장으로 돌아오는 왕복 6㎞ 선상 투어를 한다. 갯벌에서 쉬거나 먹이 활동을 하는 노랑부리저어새ㆍ흑두루미ㆍ청둥오리ㆍ가마우지 등 다양한 철새를 만날 수 있다. 물때에 따라 운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미리 확인해야 한다.

순천문학관은 '무진기행'으로 잘 알려진 소설가 김승옥 선생과 동화 작가인 고 정채봉 선생의 주요 작품과 유품을 전시한 곳이다. 갈대 열차를 타고 돌아오는 데 30분 정도 걸리며 순천문학관에 머무르는 시간은 15분 정도다.

해돋이와 해넘이의 장관도 빼놓을 수 없다. 여수반도 위로 장엄하게 떠오르는 화포해변의 해돋이로 시작해 고흥반도 뒤로 고요히 넘어가는 와온해변의 해넘이로 마감하면 순천 여행은 마침표를 찍는다. 자료제공=한국관광공사






여행수첩

▲당일 여행 코스

선암사→낙안읍성→점심식사→뿌리깊은나무박물관→순천만자연생태공원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날 : 송광사→점심식사→선암사→순천전통야생차체험관→금둔사→뿌리깊은나무박물관→저녁식사와 숙박

둘째 날 : 낙안읍성→순천드라마세트장→점심식사→순천만자연생태공원→순천문학관→와온해변 해넘이→귀가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관광순천 http://tour.suncheon.go.kr

- 선암사 www.seonamsa.net

- 송광사 www.songgwangsa.org



- 낙안읍성 www.nagan.or.kr

- 순천만자연생태공원 www.suncheonbay.go.kr

▲문의전화

- 순천시청 관광진흥과 061)749-4221

-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061)749-8855

- 순천만자연생태공원 061)749-4007

-

▲대중교통 정보

기차: 용산~순천, KTX 하루 6회(05:20~19:20) 운행, 약 3시간 10분 소요.

순천역 앞에서 61번(하루 5회), 63번(하루 10회), 68번(하루 9회) 버스 이용, 낙안읍성에서 하차.

* 문의 : 코레일 1544-7788, www.korail.com 순천역 (061)744-3172

▲자가운전 정보

호남고속도로 승주 IC→승주 방면 우회전→서평삼거리에서 낙안읍성 방면 857번 지방도로 우회전, 약 20㎞ 직진→낙안읍성 주차장→뿌리깊은나무박물관

▲숙박정보

- 밀라노모텔 : 순천시 장선배기2길 (061)723-4207 (굿스테이)

- 에코그라드호텔 : 순천시 백강로 (061)811-0000, www.hotelecograd.com

▲맛집

- 전주산들청국장 : 청국장, 순천시 팔마2길 (061)725-6447

- 길상식당 : 산채정식, 송광면 송광사안길 (061)755-2173

- 대원식당 : 한정식, 순천시 장천2길 (061)744-3582

▲주변 볼거리

송광사ㆍ선암사ㆍ순천왜성ㆍ고인돌공원ㆍ주암호ㆍ상사호ㆍ정혜사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