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증시 살려야 경기도 산다
입력2003-11-16 00:00:00
수정
2003.11.16 00:00:00
조영훈 기자
부동자금을 산업자금으로
“내수경기를 살릴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는 지금 상황에서 증시활성화가 경제회복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두말할 것도 없이 부동자금의 증시유입을 위한 효율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많은 경제ㆍ증권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경제회복 처방중의 하나다.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경기가 여전히 썰렁한 것은 얼어붙은 소비심리로 인해 내수가 바닥을 기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내수가 풀려야 하는데 뾰족한 방안이 없는 게 현실이다. 내수활성화의 양 축을 이뤘던 신용카드와 부동산은 큰 후유증 을 남겼다. 또 재정정책의 여지도 크지 않다. 따라서 시중에 떠도는 자금을 증시로 끌어들여 산업자금화하는데서 경기활력의 단초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부동자금의 증시 유입에 따른 증시활성화->기업의 자금조달 증가ㆍ소비회복->투자확대->생산 및 고용증가->기업수익 개선 및 소비증가->투자확대 등으로 이어지는 자금의 선순환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돈이 증시로 움직일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증권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부동산을 누르면 돈이 저절로 증시로 돌아오리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며 “우선 당장 필요한 단기대책과 시간을 두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중장기 대책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해
▲경쟁력 있는 주식상품 개발
▲기관투자가의 역할 확대
▲기업 및 시장의 투명성 제고 및 신뢰회복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호수 증권업협회회장은 “갈 곳을 찾지 못하고 있는 돈을 끌어오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주식상품을 만들어야 한다”며 “하지만 증권사들이 이런 상품 개발에 시간이 필요한 반면 당장 돈을 증시로 끌어들이는데 비과세상품만큼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게 없는 만큼 정부도 안된다고만 하지말고 한시적으로라도 비과세상품의 허용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관투자가의 기능회복은 증시수요 기반을 강화, 증시의 안전판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꼭 필요하다. 증시가 외국인 투자자들의 독무대가 되고 있다는 점을 보면 더욱 그렇다. 황영기 삼성증권 사장은 “기관투자가의 비중을 높여 증시의 변동성을 줄인다면 자연스럽게 부동자금이 증시로 돌아올 것”이라며 “기관이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연기금 투자확대 및 금융기관 주식투자 규제 완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상장ㆍ등록기업의 경영투명성, 증권산업 종사자들의 신뢰회복 노력도 절실하다. SK사태로 인한 투신권 환매제한은 증시가 안전한 투자처가 아니라는 불신을 낳았고, 각종 애널리스트의 보고서 파문은 신뢰하고 매매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저해하는 요인이 됐다. 이에 따라 증시의 투명성을 높여서 개인투자자들이 믿고 투자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조영훈기자 hskim@sed.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