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리빙 앤 조이] 예술·철학·문학 강의 성인 대안학교 인기

"그래, 가끔은 하늘도 쳐다보자"<br>문화센터와는 차원 다른 강좌<br>미술·철학부터 사회과학까지 다양




예술·철학·문학 강의 성인 대안학교 인기 [리빙 앤 조이] "그래, 가끔은 하늘도 쳐다보자"문화센터와는 차원 다른 강좌미술·철학부터 사회과학까지 다양 김면중기자 whynot@sed.co.kr 관련기사 >>리빙 앤 조이 기사 더보기 • 예술·철학·문학 강의 성인 대안학교 인기 • 대안연구공간의 인기 강좌들 • 심산스쿨 운영 심산 대표 • 장시간 의자생활, 허리 통증 주범 • 한승섭의 피부이야기 • 나만의 와인 리스트 만들기 • "추천합니다 당신의 첫 와인" • 이보영 인터뷰 • 영화 원스어폰어타임 30대 중반의 김 대리는 어느날 깊은 공허감에 빠졌습니다. 대학시절 꿈꾸던 생활과는 너무나도 동떨어진 현재 삶의 모습에 회의를 느꼈기 때문입니다. 남들 다 부러워하는 대기업에 다니지만 뭔가에 끊임없이 끌려 다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나 초라해보입니다. 쳇바퀴 돌 듯 사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싶었습니다. 그 동안처럼 술자리에서 공허하게 푸념만 늘어놓는 게 아니라 보다 근원적으로 삶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싶어졌습니다. 어떤가요? 김 대리의 모습에서 당신의 모습을 발견하지는 않았나요? 혹시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뭔가에 휩쓸려 가는 느낌을 받은 적은 없나요? 이렇게 규정된 삶에 대해 처음 회의를 느끼게 시작되는 시기가 보통 30대 중반 정도라고 하니 회사생활 10년 정도 해본 사람들은 다들 이런 경험 한두 번쯤은 해보기 마련입니다. 비단 30대만 이런 회의를 느끼는 건 아닙니다. 허구한 날 당신을 쪼아대는 이 부장도 실은 비슷한 고민을 하고있답니다. 타인과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사다리를 오르다 보면 더 나은 세계에 도달할 걸로 믿었는데 이 부장은 요즘 그게 환상이라는 것을 깨닫고 있답니다. 꼭짓점에 있는 극히 소수를 제외하고는 중간 탈락자들이 더 많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우리 사회의 시스템을 어렴풋이 알게 된 거죠. 이런 환상을 직시하게끔 하는 게 바로 사람과 세상에 대한 공부입니다. 폭 넓고 깊이 있게 문화, 예술, 철학 등을 접하다 보면 자연스레 자신의 삶과 사회 속에 존재하는 갖가지 환상들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주지요. 비록 당장 눈에 보이는 효과는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당신의 삶 속에 숨어있는 환상들을 꿰뚫어 보게끔 하는 '각성효과'를 주는 신비의 약인 셈이죠. 최근 없는 시간과 돈을 쪼개가며 약간은 진지하고 딱딱할 것 같은 철학이나 예술 분야를 공부하는 생활인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경쟁지상주의 시스템에 환멸을 느끼고 거기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아진 탓이겠지요. 최근 몇 년 새 그런 사람들을 위한 배움터도 부쩍 늘었습니다. 지난해 이맘때쯤 문학과 지성사에서 문화연구원인 '사이'를 만든 이후, '지행 네트워크', '다중지성의 정원' 등 비교적 소규모의 연구공간도 만들어졌습니다. 지난해 말에는 KT&G가 나서 문화예술 배움터인 '상상마당'을 열기도 했죠. 자, 이제는 '이건 아닌데' 하면서 한숨만 쉬지 마세요.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경쟁논리가 무서워 무작정 무한경쟁의 시스템을 쫓는 생활도 이젠 접으세요. 오늘부터라도 자신의 관심사를 하나 정해 공부를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닌, 진짜 당신의 관심사에 대한 '진짜 공부' 말이에요. 철학이니 미학이니 하는 말이 너무 부담스럽다고요? 그런 말 마세요. 당신이 관심을 갖지 않아서 그렇지 당신의 구미에 맞는 수많은 강좌들이 당신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게다가 그곳은 단지 공부만 하는 공간은 아니에요. 함께 고민을 털어놓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라 더욱 의미 있는 곳이죠. 대학 다닐 땐 동기나 선후배 관계 속에서 고민도 털어놓고 함께 고민도 할 수 있었는데 직장 선후배들은 다들 경쟁자로만 보인다고요? 그렇다면 이 공간에서 만난 지적 동료들과 고민을 함께 나눠보세요. 정말이지 단순히 지식이나 교양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권 대학이나 백화점 문화센터와는 다른 '뭔가'가 있다니까요. 몇 년 전만 해도 대안 교육공간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이하 민예총)이 운영하는 문예아카데미, 수유+너머, 철학아카데미, 한겨레문화센터 정도가 있었을 뿐이다. 그러다 최근 몇 년 새 다양한 대안 교육공간이 생겼다. 지난 해에만 ‘사이’, ‘상상마당’ 등 4~5군데의 대안 배움터가 서울 신촌 및 홍대 지역을 중심으로 생겨났다. 그 결과 대안 배움터의 분야도 다양해졌다. 기존 철학 및 미학 등 딱딱한 분야에서 탈피해 사진, 예술 등 문화 관련 강좌들도 늘었다. 하지만 백화점 문화센터의 취미 강좌와는 확실히 다르다. 대부분의 수업이 단순히 실용적 차원을 넘어 깊이 있고 미학적인 접근을 하는 점이 대안 배움터 강좌의 특징이다. ▲문예아카데미=민예총의 부설기관으로 15년 역사를 자랑하는 대안 교육공간의 맏형이다. 초반에는 철학이나 사회과학 쪽이 강세였지만 최근에는 문화나 예술에 좀 더 집중하는 편이다. 문화나 예술쪽 종사자나 대학원생들도 많이 찾지만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일반인들도 일과 후 저녁 시간 강의를 많이 듣는다. 이곳의 백연경 팀장은 “예전엔 제도권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써 접근했지만 최근엔 평생교육 관점으로 운영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02)739-6854, www.myacademy.org ▲(사)철학아카데미=‘비제도권 철학’의 대표적인 연구 공간이다. 지난 2000년 3월 임의단체로 설립했다 현재는 사단법인으로 전환했다. 거의 모든 강좌가 철학을 토대로 이뤄진다. 무엇보다 신진 철학자들이 주축인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전문적인 강좌가 많지만 철학이란 세계에 처음 발을 들여놓는 입문자를 위한 강좌도 많다. 올 겨울 강좌 중 하나인 ‘철학초보를 위한 생활철학’은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 ‘삶을 깊이 있게 즐기려면?’ 등 쉽고 친근한 주제로 구성돼 있다. (02)2279-2871, www.acaphilo.or.kr ▲철학아카데미=이정우 전 서강대 철학과 교수가 (사)철학아카데미에서 나와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공간이다. 철학 및 사상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곳으로 이미 지나간 철학이 아닌 현재 생성되고 있는 철학을 연구하는 곳인 점이 특징. 전문적인 연구 공간인 만큼 대학원생이 수강생의 주를 이루지만 이미 사회에 진출했으나 철학 공부를 계속하고 싶은 사람들도 꽤 많다. 이정우 원장은 “자본주의라는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공간을 만들고 싶다”며 “삶에 대해 거리를 두고서 보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라고 소개했다. (02)3142-8636, www.sowoon.org ▲고전아카데미=다른 연구공간과 달리 한의학을 중요한 축의 하나로 설정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곳의 박석준 원장은 “한의학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가 가능한 공간을 만들고자 문을 열었다”고 정체성을 설명했다. 인문학적으로 해석한 한의학 강의를 확보하고 있으며 나아가 고전 아카데미에 참가하는 강사들 사이의 사상적 교류를 통해 이를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다른 철학아카데미와 달리 동양철학 강좌를 많이 갖춘 점도 특징이다. (02)583-6566, www.classics.or.kr ▲연구공간 수유+너머=공부만 하는 연구실이 아니라 생활을 함께 하는 삶의 공간이라는 점이 이곳의 특징이다. ‘좋은 앎과 좋은 삶을 일치시키는 연구자들의 생활공동체’를 모토로 삼고 있다. 이곳에서 생활하는 이수영 연구원은 “철저히 분업화된 공간에서 분과학에 갇힌 대학 공부는 삶과 철저히 분리된 공부”라며 “수유+너머는 단순히 강좌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대여하는 곳이 아니라 삶의 공간 안에서 강의를 진행하는 점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이 곳에는 이진경, 고미숙, 고병권 같은 스타 강사들이 포진해 있다. (02)3789-1125, www.transs.pe.kr ▲문지문화원 사이=10년 전 ‘이다’라는 계간지를 만들었던 시인 성기완, 김태동 등이 주축이 돼 지난해 2월 문학과지성사의 후원으로 문을 열었다. ‘사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학제간 융화와 경계에 주목한다. 이는 이들이 ‘이다’에서 다루고자 했던 바와 일맥 상통한다. ‘이다’ 역시 ‘이질성과 다양성’을 줄인 말. 이런 특성을 잘 보여주는 강좌가 바로 이번 겨울 기획특강 중 하나인 ‘경계를 넘는 예술가들’. 시인이자 건축가인 함성호, 목수이자 미학자인 김진송, 시인이자 대중음악가인 성기완 등이 강사로 나선다. (02)323-4207, www.saii.or.kr ▲풀로엮은집=대중문화비평지인 ‘리뷰’에서 활동한 강헌, 김창남, 정윤수 등의 동인들이 지난 2003년 모여 만든 공간으로 2004년 여름부터 강의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구조에서 재교육이나 자기발전보다 학사일정에 더 치중하는 중.고교 교사들을 타깃으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30대 시민들의 재교육기관으로 자리잡았다. 가장 특색 있는 강의는 당대의 핵심적 주제에 대해 고민하는 ‘상상특강’. 정윤수 사무국장은 “김지하, 신영복 등 쟁쟁한 사상가의 강의에는 100명 이상이 몰리며 진중권, 김규항 등 인기 논객의 강의에도 50명 이상이 몰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고 말했다. (02)734-5953, www.puljib.com ▲다중지성의 정원=대학교수 및 문화운동가의 연구 모임이었던 ‘다중네트워크센터’의 활동을 대중적으로 알리고자 지난해 10월 문을 연 공간이다. 다른 공간에 비해 보다 실천적이고 정치적인 색깔이 강한 편이다. 이곳의 좌장은 지난 80년대 노동해방문학론을 제창해 수십 년간 수배 생활을 했던 문학평론가 조정환. 그는 “현재의 질서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강의가 대부분”이라며 “지금 있는 걸 설명하는 데 멈추지 않고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는 게 우리 강의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02)325-2102, www.daziwon.net ▲지행 네트워크=소위 ‘포스트 386 연구자’인 이명원 전 서울디지털대 교수(국문학), 오창은 중앙대 강사(국문학), 하승우 한양대 연구교수(정치학) 등 ‘비평과 전망’ 동인들이 만든 대안 연구 공간이다. 지식인 중심의 연구 공간이 아닌 젊은 청년세대가 현실에 대한 다양한 고민들을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겠다는 게 이들의 포부. 이에 대해 이명원 전 교수는 “386 세대 선배들과 현재 30대는 분명히 다른 감수성과 지향점이 있다”며 “현재 30대인 사람들이 현실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소통할 수 있는 구심점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02)823-4296, www.jihaeng.net ▲문화플래닛 상상마당=단순 취미를 넘어 실질적인 문화예술인을 양성하는 게 이곳의 목표다. ‘예술가들을 위한, 예술가로 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학습과 작업 공동체’라는 모토를 가지고 있다. 철학 및 미학 강좌도 있지만, 주로 문화 및 예술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사진 및 디자인 강의가 강한 편. KT&G라는 거대 자본이 후원해주는 만큼 재정적으로 튼튼한 편이다. 홍대 상권의 한복판에 위치해있으며 전시공간을 비롯해 공연장, 극장 등 부대시설도 잘 갖추고 있다. (02)330-6226, www.sangsangmadang.com ▲심산스쿨=여타 연구공간과 달리 산업현장과 맞닿는 실용적 교육을 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곳의 특화 코스는 역시 시나리오워크숍 과정. ‘비트’, ‘태양은 없다’ 등을 쓴 심산 원장을 비롯해 ‘결혼이야기’ ‘싱글즈’ 등의 작가 박헌수, ‘인디안 썸머’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을 쓴 노효정 등이 간판 강사다. 이외에도 단행본 출간을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명로진 인디라이터 반’, 스토리텔링의 원형을 접할 수 있는 ‘김원익 신화반’ 등이 있으며 즐겁게 즐길 수 있는 와인, 탱고, 산악 관련 강좌들도 있다. (02)707-1277, www.simsanschool.com 입력시간 : 2008/01/23 11:39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