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주도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사옥 '다음 스페이스 닷원' 앞에는 컴퓨터를 들고 '인터넷하는 돌하르방'이 있다.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비춰질 수도 있지만 '인터넷하는 돌하르방'은 다음커뮤니케이션과 다음 스페이스 닷원의 실험정신과 모험정신, 그리고 창의성을 잘 대변해 준다.
다음 스페이스 닷원은 2004년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제주도를 이전한 이후 8년만에 세워졌다. 10명으로 시작한 다음의 제주시대는 지금은 350명이 내려와 한 건물에서 근무하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다음 스페이스 닷원을 '소통과 개방'이라는 말로 풀어내고 있다. 다음 스페이스 닷원이 위치한 곳은 해발 300m정도되는 제주시의 남쪽 언저리 구릉이다. 다음 스페이스 닷원 한쪽 통로에 서면 앞과 뒤로 제주 바다와 한라산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건물 자체가 제주도 전체를 관통하며 소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는 셈이다.
박기수 매스스터디스 소장은 "일하는 사옥(社屋)이 아닌 사람이 사는 곳으로서의 사옥(舍屋)이 되야 한다"며 "서로 서로 소통하는 작은 마을을 만드는 식"이라고 설명했다.
건물이 들어서 있는 부지는 꽤 넓다. 하지만 건물은 모두 도로변으로 치우쳐져 있다. 도로 반대편은 넓은 녹지공간을 마련해 놨다. 얼핏 비효율적으로 공간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자연과 가까운 제주이기에 더 큰 놀라움으로 다가 온다.
건물은 나즈막하다. 제주도의 오름을 형상화했다. 높이는 5층에 불과하다. 1층은 다양한 공공시설이 설치돼 있다. 구내식당과 오픈 라운지, 커페, 전시공간, 게임룸, 체력단련실, 회의실 등의 공용공간이 구성돼 있고 업무시설과는 독립된 강당도 있다.
하지만 이 공간들은 일반적인 사옥에서 보듯 한 곳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모습은 아니다.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다 보면 게임룸이 나타나고 체력단련실이 나타난다. 그 곳에서 익숙하거나 낯선 사람들도 만날 수 있는 구조다. 그래서 소통의 공간이다.
2층은 업무공간이다. 두 개층 높이를 가지고 있어 널찍하게 보인다. 사무실이 있고 리셉션, 전시실, 회의실이 있다. 그리고 3층에는 도서권이 있다.
4·5층은 보다 오밀조밀한 업무공간이 배치돼 있다. 그리고 잔디와 나무 데크로 이뤄진 야외 테라스와 연결된다.
다음 스페이스 닷원의 내부 공간은 다양하다. 획일적인 사각형의 공간이 아닌 다양한 규모의 다채로운 공간을 창출해 내고 있다.
박대영 다음커뮤니케이션 경영지원본부 이사는 "창의적이고 친환경적인 업무환경을 만들어내고자 했다"며 "제주도의 자연과 문화를 사옥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기존 사옥과 다른 가치 인정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