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던 역세권 사업이 곳곳에서 표류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서는 낙후된 역세권 개발의 재원 마련을 위해서는 민간 사업자의 투자가 필수적이지만 경기침체로 사업성이 악화되면서 투자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역세권 개발사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사업성 재검토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인천시ㆍ연수구와 공동으로 최근 수인선 연수ㆍ원인재 역세권 복합개발사업에 대한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지만 사업자 선정에 실패했다. 이 사업은 민간사업자가 사업비 전액을 조달, 15만7,274㎡의 부지에 주거ㆍ상업ㆍ복합환승시설을 짓고 사업구역을 지나는 철도노선 1.6㎞의 상부를 덮어 근린공원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당초 이달 중 사업자를 선정하고 오는 2018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한다는 복안이었다.
이 사업은 철도공단이 철도역과 주변 공유지를 지자체와 공동 개발하는 첫 사례여서 공을 들였던 프로젝트다.
철도공단 관계자는 "당초 추정 사업비는 2,000억원 정도인데 선로위 공공시설 덮개 설치로 규모가 4,000억원까지 늘어난 것으로 안다"며 "사업자 입장에서 주변 지역보다 분양가는 물론 임대료를 저렴하게 책정해야 하기 때문에 도저히 수익성을 맞출 수 없다고 판단해 참여하지 않은 것 같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일단 철도공단 부지를 배제하고 시유지로만 사업부지를 한정, 시가 직접 공모절차를 주관해 재공모해볼 방침"이라고 말했다.
민간 투자자를 구하지 못해 애를 먹고 있는 곳은 연수ㆍ원인재역세권만이 아니다.
충북도와 충북개발공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오송역세권개발을 위한 3,10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전액 민간이 출자하는 방식으로 두 차례 공모를 진행한 바 있지만 투자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충북은 고육지책으로 전체 사업비의 51%를 지자체가 부담하고 나머지 49%는 민간 사업자가 투자하는 방법으로 투자형식을 변경해 이달 안에 3차 공모를 추진할 예정이지만 여전히 투자자를 찾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만약 3차 공모 때에도 투자자 모집에 실패할 경우 오송역세권 개발부지는 올해 말 도시개발구역에서 자동 해제돼 개발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처해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침체기인 요즘 불투명한 사업에 적극 투자에 나설 민간 사업자를 찾기란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들어가는 것보다 어려운 만큼 역세권 개발사업에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경기활황기에는 공무원들이 땅을 팔아서 장사를 하면 된다고 생각했고 민간 역시 사업권만 주면 공짜로라도 공사를 해주겠다는 식으로 쉽게 투자에 임했다"며 "하지만 현재는 지방정부 재정이 어떤 식으로든 투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사업성이 있는 역세권이 전국에서 한두 곳에 불과한 만큼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절실하다"며 "개발사업의 마스터플랜 수립시 사업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 또한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