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간의 회의에 참가한 190여개국 대표들은 오는 2015년 파리 총회에서 완성될 예정인 새 기후변화협약의 대략적인 로드맵에 합의했다. 해수면 상승 위험에 노출된 섬나라 등 기후변화 피해 지역을 돕기 위한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계획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몇몇 관계자에 따르면 대다수 국가는 전세계 온실가스 감축 총량에 따라 각 국가에 일정량이 할당되는 하향식 대신 스스로 감축량을 결정해 총회의 공인을 얻는 상향식 감축을 시행하자는 데 뜻이 모아졌다.
반면 온실가스 배출 억제량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별 출자 등 실질적 부담 문제에 대해서는 선진국과 신흥국 간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과 인도는 온실가스 배출 삭감 의무화 대상국을 선진국에서 모든 당사국으로 확대하자는 유럽연합(EU) 등의 주장에 반대해 안을 무산시켰다. 중국 등 신흥국은 모든 회원국이 새 기후변화협약 마련을 '약속(commitments)'하자는 합의문 초안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밝혀 결국 한 단계 낮은 '기여(contributions)'라는 표현으로 수정되기도 했다. 특히 '손실과 피해' 계획의 구체적 내용과 국가별 부담액뿐만 아니라 202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 문제에서도 의미 있는 결론이 나오지 못하면서 전세계 환경단체를 분노케 했다고 영국 BBC는 전했다. 한국이 유치한 녹색기후기금(GCF)의 재원마련에 대해서도 독일·노르웨이 등이 참여 의사를 밝혔을 뿐 구체적인 액수가 동반된 자금약속은 지지부진한 형편이다.
글로벌 환경단체인 '환경보호주의3세대(E3G)' 대변인은 "당사국들은 2015년 새 기후협약을 망치기 위해 작정한 듯 보였다"며 "우리 모두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계획표를 짜고 시행에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당사국은 내년 페루 리마에서 20차 총회를 열고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량 계획 등 본격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