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한가위를 즐겁게] "키 작다면 치마보다 짙은색 저고리가 무난"

■ 한복 입기·절하기




한가위에 조상들을 섬기기 위해 정갈한 한복을 예법에 맞게 잘 차려 입는 것은 후손들의 기본적인 예의다. 특히 자신의 몸에 잘 맞는 한복을 고르고 사용 후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올바르게 보관하는 방법도 잘 익혀놔야 한다. 이주원 이마트 패션담당 바이어와 송하영 옥션 의류팀장에게 한복 입는 법과 보관법에 대해 들어봤다. ◇체형에 맞게 입어야 맵시 난다=아무리 화사한 디자인의 한복이라도 자신의 체형에 맞지 않으면 옷맵시가 전혀 나지 않는 법. 목이 굵거나 짧으면 저고리 깃이 좁고 긴 것을 고르고 목이 가늘거나 길면 넓고 짧은 저고리 깃을 찾는 것이 원칙이다. 마른 체형이라면 화려한 스타일로 볼륨감이 있어 보이도록 한다. 통통하다면 배자를 덧입고 아얌, 노리개, 배씨 등의 한복소품을 이용하거나 저고리 소매 끝동이나 목선에 수가 있는 것을 골라 시선을 분산시키는 것이 현명하다. 키가 작고 마른 체형은 치마보다 짙은 색의 저고리를 고르는 것이 무난하다. 무늬는 작고 화사한 것이 좋다. 반대로 키가 작고 통통하면 남색이나 진한 자주색 등 어두운 색 치마에 동색계통의 저고리를 맞추면 단점을 가릴 수 있다. 키가 크고 마른 사람은 넓은 통에 주름이 촘촘히 잡힌 치마가 좋다. 저고리는 약간 길게 하고 상·하복은 다른 색을 고른다. 키가 크고 통통한 경우 짙은 색 저고리가 적당한데 이때 소매 끝과 깃, 섶에 다른 색을 대는 삼회장저고리를 입으면 날씬해 보이는 효과가 있다. ◇여자 한복 입는 법=여자는 우선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보온용으로 배자나 마고자를 걸친다. 속옷으로는 먼저 속바지를 입고 브래지어로 가슴을 고정시켜준다. 그 위에 속치마를 착용하고 버선을 신는다. 버선은 가운데 시접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해야 한다. 겉치마를 입을 때는 어깨 끈에 양팔을 넣고 치마끈으로 가슴부분을 둘러 매듭으로 고정시켜 준다. 겉치마는 속치마보다 2~3cm 더 짧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음으로 저고리를 입고 옷고름을 맨다. 고름을 맬 때는 짧은 고름을 위로 가게 해 왼손으로 잡고 긴 고름은 아래로 놓는다. 그리고 짧은 고름을 긴 고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당겨 맨다. 긴 고름은 접어 왼쪽으로 매듭을 만든 뒤 짧은 고름으로 이것을 돌려 싼다. 이후 짧은 고름을 매듭 밑으로 넣어 오른손으로 잡아 빼면서 모양을 만들어주면 된다. ◇남자 한복 입는 법=남자 한복의 기본은 바지와 저고리, 조끼이다. 우선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둘레를 조절한다. 저고리 고름 매는 순서는 여자와 똑같다. 버선이나 양말을 신은 후 바지의 대님을 친다(맨다 라고 안하고 '친다'라고 한다). 이때 바지 아랫부분은 대님 맨 곳을 덮을 만큼 풍성하게 내려준다. 바지를 입을 땐 큰 사폭(남자의 한복 바지나 고의에서 허리와 마루폭 사이에 잇대어 붙이는 네 폭의 헝겊)이 오른쪽으로 가도록 하고 남은 허리 부분은 접어 허리띠를 맨다. 허리띠를 고름 매는 것처럼 매서 여분이 저고리 아래로 내려와 겉으로 보이게 하면 된다. 그 다음 저고리 위에 조끼를 입는데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져서는 안 된다. 조끼 위에는 보온용으로 마고자를 입으며 역시 저고리나 조끼가 마고자 밖으로 나와서는 안 된다. ◇세탁과 보관도 중요=한복은 옷감이 얇아 자주 세탁하면 탈색되거나 바느질이 상할 우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천연섬유 재질의 경우 드라이클리닝, 합성섬유 제품은 손으로 살살 비벼 빨아야 한다. 얼룩이 진 경우는 벤젠을 솜뭉치에 묻혀 얼룩이 완전히 묻어나올 때까지 뒤집어가며 꾹꾹 누르거나 두들겨 빼면 된다. 원단마다 특성이 다를 수 있으니 옷 안쪽의 보이지 않는 면에 먼저 시험해본 후 실제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한복을 오랫동안 보관할 때는 반드시 방충제를 종이에 싸서 옷갈피에 넣어둬야 한다. 방습제도 같이 두면 좋다. 모양이 바뀌기 쉬운 만큼 옷걸이에 걸어두기 보다 포장한 종이 상자에 두 세 번 개어 놓고 뚜껑을 닫아두는 것이 좋다.
올바른 절하기
男, 왼손이 오른손 위로 가야
女, 오른손이 왼손 위로 가야
절은 평절과 큰절이 있는데 남자의 경우 두 가지의 차이는 없다. 남자 큰절은 우선 바른 자세로 서서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잡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 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에 올라가는 것이 맞다.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그 다음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위에 포개서 앉는다.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도록 한 뒤 얼굴이 손까지 내려올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절한 뒤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 뒤 일어나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여자 큰절의 경우 바른 자세로 손을 앞으로 모은 상태에서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 남자와 반대로 오른손이 왼손 위에 가도록 포갠다. 이후 왼쪽, 오른쪽 순으로 무릎을 구부린 후 오른발이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개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손등을 이마에 꼭 붙인 상태로 몸을 45도쯤 앞으로 굽혀 절한다. 잠시 머무른 후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워 일어나 발과 손을 가지런히 모은다. 여자 평절은 큰절과 거의 같지만 두 손을 이마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양 옆으로 해 손끝을 바닥에 짚는 것이 다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