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흥국에서 글로벌 자금의 유출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투자자들도 해외 투자 방향을 선진국 쪽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달러강세에 더해 선진국들의 경기가 신흥국 대비 빠르게 회복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5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투자자들의 홍콩 주식 직접투자금액은 2조669억원으로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높아지기 직전인 지난 5월 초(2조2,402억원) 대비 1,733억원 감소했다. 홍콩 시장에 상장된 H주식(중국 기업 주식)은 시가총액 기준 72%를 차지하고 있어 홍콩 주식 투자는 중국 주식에 대한 투자로 볼 수 있다.
전체 해외 주식 투자금액에서 홍콩이 차지하는 비중도 38.57%에서 33.77%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금액은 1조9,502억원에서 2조266억원으로 764억원, 일본은 1조2,562억원에서 1조2,941억원으로 379억원 증가했다.
해외 주식형 펀드 자금의 흐름도 비슷한 양상이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북미 주식 펀드에는 964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같은 기간 유럽 주식에 1조4,365억원, 일본 주식에도 7,305억원이 들어왔지만 중국 주식은 4,560억원가량 빠져나갔다.
전문가들은 미국 금리인상을 앞두고 지속되고 있는 달러강세에 더해 신흥국 대비 튼튼한 선진국의 펀더멘털이 자금유입을 자극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유선웅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경우 통화정책 정상화로 달러자산의 가치가 커지고 있고 경기회복 조짐도 보이면서 자금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라며 "유럽 역시 전 세계 국가에서 미국 다음으로 경기회복 모멘텀을 보이는 지역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신흥국은 달러강세에 따른 투자매력 반감과 경기회복 모멘텀 약화로 자금유출이 확대되고 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9월 미국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달러강세와 중국 제조업 경기위축이 맞물리면서 신흥국에서의 자금유출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채권에서도 선진국으로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로인에 따르면 올 들어 선진국 중심의 글로벌 채권 펀드에 9,836억원이 들어온 반면 신흥국 채권 펀드에서는 800억원이 빠져나갔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신흥국의 경우 통화 자체가 불안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어 주식은 물론 채권에서도 선진국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들어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북미 채권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연구원은 "신흥국 채권 펀드는 금리동결에도 유출세를 지속한 반면 북미 채권은 글로벌 저성장 우려에 유입 전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문 연구원도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면서 미국 채권을 사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투자자들의 선진국 쏠림 현상이 앞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을 비롯한 주요 신흥국에 대한 경기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국가들의 경기회복은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에 따르면 오는 2016년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은 2%로 2011년 이후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미국 경제성장률은 올해와 2016년 각각 2.5%, 2017년 2.3% 성장할 것으로 진단됐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경제도 회복이 계속되면서 2015~2017년 경제성장률이 연평균 1.6%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중국은 올해 6.8%에서 2016년 6.3%, 2017년 5.5%로 지속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유 연구원은 "선진국과 신흥국의 경기상황이 역전되면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양적완화로 신흥국에 유입됐던 자금이 선진국으로 다시 회수되는 과정에 있다"며 "핫머니 유입이 많았던 중국에서의 자금유출이 큰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 연구원도 "통화정책 정상화를 미국이 먼저 시작하면서 다른 나라들도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선진국으로의 자금 유입과 신흥국 유출은 추세 자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주기자 parkmj@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