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시장(전통시장)육성특별법'이 제정된 것은 10년 전인 2006년이었다. 정치권의 골목상권 보호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출발한 이 특별법이 완전히 형해화하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전통시장을 위해 무려 2조5,0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쏟아부었으나 전국 총매출은 2001년의 40조1,000억원에서 지난해에 정확히 반 토막이 나고 말았다. 강제 휴무 조치 등을 통해 경쟁 상대인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만 옥죄면 전통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겼지만 원인을 잘못 지목한 것이다. 진짜 범인은 대형마트가 아니라 현대사회의 소비자 형태 변화에 있었기 때문이다.
온라인 쇼핑몰 판매액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형마트 물량을 추월했다고 한다. 통계청은 1일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된 금액이 43조6,054억원으로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의 판매액 40조2,801억원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1·12월에도 이런 흐름은 계속돼 지난해 전체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액은 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유통업계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매출 신장의 주역으로 단연 모바일 쇼핑을 꼽고 있다. 모바일 쇼핑 규모는 지난해 23조원에 달했다. 이는 2년 만에 3배 넘게 폭증한 것이다. 대형마트의 주요 판매품목이던 육류·과일·채소 등 신선식품을 온라인에서 사는 소비자도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런 추세는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닐슨이 2014년에 발간한 'e커머스 환경에서의 소비재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소비자의 절반 이상(55%)이 앞으로도 식료품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용의가 있다"고 응답한 바 있다.
이제는 전통시장만이 아니라 대형마트나 SSM 종사자들이 생존권을 주장하면서 정치권을 향해 '모바일 쇼핑몰 규제' 요구가 적힌 머리띠를 두를지 모른다.
온라인 쇼핑몰 판매액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대형마트 물량을 추월했다고 한다. 통계청은 1일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된 금액이 43조6,054억원으로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의 판매액 40조2,801억원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1·12월에도 이런 흐름은 계속돼 지난해 전체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액은 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유통업계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매출 신장의 주역으로 단연 모바일 쇼핑을 꼽고 있다. 모바일 쇼핑 규모는 지난해 23조원에 달했다. 이는 2년 만에 3배 넘게 폭증한 것이다. 대형마트의 주요 판매품목이던 육류·과일·채소 등 신선식품을 온라인에서 사는 소비자도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런 추세는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닐슨이 2014년에 발간한 'e커머스 환경에서의 소비재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소비자의 절반 이상(55%)이 앞으로도 식료품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용의가 있다"고 응답한 바 있다.
이제는 전통시장만이 아니라 대형마트나 SSM 종사자들이 생존권을 주장하면서 정치권을 향해 '모바일 쇼핑몰 규제' 요구가 적힌 머리띠를 두를지 모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