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최근 대체투자의 전략적 자산배분(strategic asset allocation·SAA)을 리스크 요인별로 하기 위한 모형을 완성했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은 지난해 글로벌 자산운용사 중에서 리스크 요인별 자산배분을 활발하게 추구하는 블랙록자산운용에 관련 용역을 맡겼다. 리스크 요인별 자산배분이란 특정 자산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요소를 따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대체투자 과정에서 사모펀드(PEF)와 상업용 부동산, 에너지 설비에 각각 투자할 때 기존에는 자산별로 위험을 추산해 투자를 결정했다. 리스크 요인별로 따지면 사모펀드와 상업용 부동산, 에너지 설비마다 각각 환율·인플레이션·경제성장·이자율·지분투자 등의 요인으로 나뉜다.
만약 전략적 자산배분 중 지분투자 비중을 50%로 한다면 같은 PEF·부동산·에너지 설비 투자 대출보다 지분투자에 가까운 투자를 이곳에 분류한다. 기존에는 PEF든 부동산이든 세부 투자별로 성격이 달라도 하나로 뭉뚱그렸지만 앞으로는 투자건별 리스크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때문에 분산투자가 강화된다. 국민연금은 대체투자의 특성을 고려해 일반적인 사례보다 정교하게 리스크 요인을 나누기로 했다.
관련기사
투자 자산군이 아니라 자산군 내 각종 특성을 기준으로 한 자산배분은 최근 해외 연기금에서 쓰는 방식이다. 해외 연기금 중 장단기 모두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인 캐나다연금(CPPIB)을 비롯해 국민연금과 조직 특성이 비슷한 미국 캘리포니아공무원퇴직연금(CalPERS)이나 덴마크연금(ATP)도 이 방식을 사용한다.
국민연금 역시 수익률을 결정하는 데 95% 이상 영향을 미치는 자산배분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한 것이다. 다만 해외 연기금이 전체 자산에 이 같은 전략을 도입한 것에 비해 국민연금은 전체 투자자산의 12.5%에 불과한 대체투자에만 도입한다. 국민연금은 주식과 채권 등 전통적 자산에 대해 사실상 세부적인 자산배분을 기금운용위원회가 결정하기 때문이다. 새롭게 등장한 투자 대상인 대체투자는 기존 투자자산과 특성이 달라 상대적으로 투자운용의 자율성이 높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체투자 역시 기금운용위가 투자 비중을 결정하지만 세부적인 자산배분은 기금운용본부가 결정하기 때문에 전략 변경을 검토해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