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미국 본토에서 대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를 통해 코로나 19사태처럼 북한과 이란 등의 무력도발 등 추가적인 돌발변수를 피하기 위한 위기관리에 나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22일 새벽 담화를 통해 “우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동지에게 보내온 도널드 트럼프 미합중국 대통령의 친서를 받았다”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김 제1부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에서 북미 관계를 추동하기 위한 구상을 설명했다”면서 코로나19 방역에서 북측과 협조할 의향도 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최근 의사소통을 자주 하지 못해 자기 생각을 알리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앞으로 국무위원장과 긴밀히 연계해 나가기 바란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소개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친서는 김정은 위원장과의 특별하고도 굳건한 친분을 잘 보여주는 실례”라면서 김정은 위원장도 친분 관계를 확언하고 대통령의 따뜻한 친서에 사의를 표했다고 말했다.
북한이 친서외교가 재개된 시점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이례적으로 새벽 시간대 해당 내용을 공개한 것을 보면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친분을 과시하려 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 역시 대북제재와 코로나 19 사태로 북한 내부사정이 어려운 만큼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내부 불만을 차단하고 자신의 정치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의 친분을 과시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표면적으로 친서를 보낸 이유로 코로나 19 방역협력을 언급했다. 하지만 북한이 이달 들어 세 차례에 도발에 나선 점을 고려하면 미국이 북한 리스크 관리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실제 김 위원장은 지난 2일과 지난 9일에 이어 21일 전술유도무기 시범사격을 참관하며 광폭 군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북한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연이은 무력도발이 북미 비핵화 협상에서 그가 제시한 정면돌파전의 일환으로 점차 도발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 19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음에도 북한이 국가적 행사인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3차 회의를 다음달 10일 평양에서 강행하기로 한 것도 정면돌파전에 따른 일정을 소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한의 국회격인 최고인민회의는 북한의 예산·결산 처리 외에도 실질적 정책결정 기구인 노동당의 정책노선을 추인하는 입법 권한을 갖는 만큼 대미노선 관련 안건이 다뤄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이처럼 대미 강경 노선을 노골화하는 북한을 달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때마침 코로나 19라는 전 인류적 공통과제가 발생하면서 미국은 이러한 시국을 활용해 북한에 손을 내민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 내부에서도 코로나 19 방역을 위한 대북 인도지원에 대해선 큰 거부감이 없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코로나19 인도적 지원은 제재와 별개라는 입장을 수차례 공언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지난달 27일 북한의 코로나19 대처를 돕기 위해 인도적 지원에 한해 대북 경제 제재를 면제하기로 결정했다.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손을 바로 잡진 않겠지만 민간차원의 방역지원은 수용할 것으로 점쳐진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미국의 민간 인도지원단체로부터 방역물자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커 보인다”며 “명분은 유지하면서도 진단키트 등 방역물자는 당장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양측 정상 간 친서외교가 북미 비핵화 협상의 재개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실제 김 제1부부장은 다만 북미관계를 두 정상간 개인적 친분에 따라 기대해서는 안 된다면서 “공정성과 균형이 보장되지 않고 일방적이며 과욕적인 생각을 거두지 않는다면 두 나라의 관계는 계속 악화일로로 줄달음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두 나라 사이에 역학적으로나 도덕적으로 평형이 유지되고 공정성이 보장돼야 두 나라 관계와 그를 위한 대화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두 나라의 관계가 수뇌들 사이의 관계만큼이나 좋아질 날을 소원하지만, 그것이 가능할지는 시간에 맡겨두고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 교수는 김 제1부부장의 담화 내용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과의 개인적 친분과 미국과의 국가 간 관계를 분리대응하는 기존의 입장도 재확인해주고 있다”며 “즉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8일 김정은 생일에 이어 최근 다시 친서를 먼저 보내는 등 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이고 과욕적인 기존 입장을 바꾸지 않는 한 북미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한미군사훈련, 전략무기 한반도 전개 등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 전에 비핵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