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SE★현장] "못 하는 것 없는" 펜타곤, '자체 제작돌' 끝판왕 입증한다(종합)

그룹 펜타곤(후이, 홍석, 신원, 여원, 옌안, 유토, 키노, 우석)이 12일 열번 째 미니 앨범 ‘WE:TH’ 발매 기념 미디어 온라인 쇼케이스에 참석했다. / 사진=양문숙 기자




그룹 펜타곤(PENTAGON) ‘자체 제작돌’ 수식어를 확실하게 입증하는 앨범으로 돌아왔다. 펜타곤의 매 앨범 프로듀싱을 담당한 후이부터 군 복무 중인 진호까지 자작곡으로 앨범을 채우고, 앨범 재킷까지 직접 그렸다. 다재다능한 이들의 성장이 이번 앨범에 한껏 담겼다.

펜타곤(후이, 홍석, 신원, 여원, 옌안, 유토, 키노, 우석)은 12일 열 번째 미니 앨범 ‘위드(WE:TH)’ 발매 기념 미디어 쇼케이스를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했다.

지난 2월 첫 번째 정규앨범을 발표하며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증명한 펜타곤은 8개월 만에 미니 10집 ‘위드’로 돌아왔다. ‘위드(WE:TH)’는 ‘위(WE)’와 ‘함께’를 뜻하는 ‘위드(WITH)’의 합성어로, 서로를 위해 공존하는 펜타곤과 유니버스(팬덤명)의 교감, 그리고 우리가 함께 살아가며 느끼는 모든 순간과 감정들을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녹여냈다.

리더 후이는 “펜타곤이 한층 더 성숙해진 앨범”이라며 “많은 분들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주제와 음악들로 꽉 채웠다. 기존에는 청량하고 혹은 강렬한 콘셉트에 치중된 콘셉츄얼한 음악들을 보여드렸는데, 이번에는 힘을 조금 더 빼고 어른스러운 모습을 보여드리기 위해 노력했다”고 소개했다.

타이틀곡 ‘데이지’는 이별 뒤 누구나 겪었을 법한 아련하고 슬픈 마음을 강렬한 사운드 위에 담은 얼터너티브 록(alternative rock) 장르의 곡이다. 새하얗고 희망적인 ‘데이지’ 꽃을 사랑애 빗대어 표현하며 결국 그 사랑에 ‘데인다’는 중의적 표현을 사용했다. 후이와 우석이 작곡·작사에 참여해 의미를 더했다.

신원은 “이 곡을 쓴 지 오래됐다. ‘로드 투 킹덤’을 끝나고 바로 쓴 곡이다. 후이 형이 곡을 쓰고 들려줬는데 속으로 ‘됐다’라고 생각했다. 구체적인 앨범 작업을 들어가기 전까지 굉장히 마음을 놓고 있었다. 그래서 편하게 앨범 작업에 들어갔다”며 타이틀곡에 대한 자신감을 자신감을 드러냈다.

직접 곡 작업을 한 후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쉽게,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는 아닐까 생각했다. 누구나 가슴 아픈 사랑이 있지 않나. 진짜 마음속에는 나보다 덜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 마음을 직설적으로 적어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데이지’라는 의미가 중의적 의미를 가진 것에 대해 “아재 개그”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함께 작업한 우석은 “후이 형이 ‘데이지’라는 소재를 처음 말했을 때 되게 재밌어서 작업을 하면서도 재밌게 했다”고 덧붙였다.

때로는 강렬하게, 때로는 자유분방한 퍼포먼스로 무대를 사로잡는 펜타곤은 ‘데이지’에서는 한층 더 성숙해진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직설적이고도 서정적인 ‘데이지’의 가사를 활용해 섬세하면서도 화려한 퍼포먼스로 무대를 꾸밀 예정이다. 펜타곤은 포인트 안무에 대해 “데이지의 씨앗을 옮기는 댄스다. 이름하여 ‘파종 댄스’다”라고 설명하며 시범을 보였다. 나란히 서있는 멤버들이 씨앗을 옮기는 연기를 하면서 귀여운 안무를 선보여 눈길을 사로잡았다.

그룹 펜타곤(후이, 홍석, 신원, 여원, 옌안, 유토, 키노, 우석)이 12일 열번 째 미니 앨범 ‘WE:TH’ 발매 기념 미디어 온라인 쇼케이스에 참석했다. / 사진=양문숙 기자




펜타곤은 타이틀곡 외에도 모든 수록곡을 자작곡으로 채워 ‘자체 제작돌’의 진가를 입증했다. 키노가 작사·작곡하고, 우석이 함께 작사한 아름다운 이별을 그린 곡 ‘뷰티풀 굿바이(Beautiful Goodbye)’, 우석이 작사·작곡한 함께 지나온 시간들을 소중히 간직하자는 의미를 지닌 곡 ‘그해 그달 그날’, 후이와 우석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두 가지의 곡 구성을 혼합시킨 곡 ‘유 라이크(You Like)’, 키노가 작곡에 참여하고 키노·우석이 함께 작사해 2000년도 후반의 K팝 감성을 담은 ‘파라다이스(Paradise)(별이 빛나는 이 밤)’, 군 복무 중인 진호의 자작곡이자 솔로곡인 ‘아이엠 히어(I’m Here)‘ 등 6곡은 모두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엮였다.

음악뿐만 아니라 앨범 재킷 작업에도 펜타곤이 직접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앨범 온라인 커버 그림을 그린 키노는 “사실 그림을 전공한 것도 아니고 시작한 지 8개월 정도밖에 안됐다. 그렇지만 진심을 다해서 그렸다. 팬분들께 이렇게 빨리 공개해드릴 생각은 없었다. 전문가분들이 보기에 아쉬운 그림을 보여드리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부끄러워했다. 이어 “언젠가 준비가 되면 보여드리고 싶었는데 제가 정말 좋아하는 데이지라는 꽃을 그린 것을 주위 분들이 보고 설득해 주셔서 온라인 아트 커버를 그리게 됐다. 앨범 속지 아트워크도 직접 그렸다”고 밝혀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였다.

특히 이번 활동은 진호의 부재와 옌안의 복귀가 돋보인다. 진호는 지난 5월 군 입대를 했고, 지난해 7월 건강상의 이유로 활동을 중단했던 옌안은 1년 3개월여 만에 팀에 복귀했다. 옌안은 “진짜 오랜만에 펜타곤과 함께 다시 이 무대에 쓰는 것 자체가 기쁘고 설렌다. 이번 활동에는 1년 동안 쌓여있던 에너지를 다 쏟을 것이다. 기대 많이 해달라”고 강한 포부를 드러냈다.

군 복무로 인해 당분간 함께 활동하지 못하는 진호는 입대 전 타이틀곡을 듣고 활동에 대한 욕심을 보였다고. 홍석은 “진호 형이 이 곡이 너무 좋다고 너무 탐 나서 ‘나 돌아올 때까지 남겨두면 안 되냐. 같이 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반면 진호는 멤버들에게도 한 번도 들려주지 않은 자작곡을 남겨두고 입대했다. 후이는 “진호 형이 입대 전에 만들어 놓은 노래다. 우리도 아직 안 들어봤다. 팬분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가 담겨있다”고 밝혔다. 키노는 “관계자분들께 몰래 한 번만 들려달라 요청을 드렸는데 절대 안 된다고, 진호 씨가 신신당부했다고 하더라. 앨범이 만들어질 때까지 제목도 몰랐다”고 전해 기대감을 높였다.

정규 앨범 활동이 끝나고 공백기를 거친 펜타곤은 지난 6월 종영한 Mnet 경연 프로그램 ’로드 투 킹덤‘에 출연하는 등 쉬지 않고 달렸다. 당시 함께 출연한 온앤오프, 골든차일드, 더보이즈, 원어스, 베리베리, TOO 중 가장 선배였던 펜타곤은 노련한 무대로 주목을 받았다. 함께 출연한 그룹들이 ’로드 투 킹덤‘ 후 발표한 앨범에서 큰 성장세를 보인 바 있어, 펜타곤의 도약에도 기대가 모인다. 여원은 “’로드 투 킹덤‘으로 무대를 보는 시각이 한층 더 넓어졌다”며 “디테일하게 의상부터 콘셉트, 사소한 포인트까지 신경 쓸 수 있는 계기가 됐고, 그걸 떠나서 프로그램 자체로 펜타곤이 ’이런 무대를 하는 그룹이다‘ ’이렇게 무대를 잘하는 그룹이다‘라는 걸 보여드릴 수 있어서 좋은 계기였다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미니 10집을 발표하기까지 많은 변화와 성장을 이룩한 펜타곤은 이번 활동으로 “펜타곤이 안 해본 장르는 있지만, 못하는 장르는 없다고 기억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1등도 하고 싶지만, 활동이 모두 끝난 다음에 우리 펜타곤과 유니버스 웃고 있었으면 좋겠다. 소박하면서도 굉장히 힘든 일”이라고 목표를 이야기했다.

한편, 펜타곤의 위로와 공감이 담긴 미니 10집 ’위드‘는 이날 오후 6시 각종 음원사이트를 통해 공개된다.

/추승현기자 chus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련태그
#펜타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