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다들 가고 싶어하는 회사인데 "뽑을 인재가 없다" ... 판교의 속사정

"DNA 인재를 찾습니다"

판교역에 나타난 개발자 공채 광고

공채 없어진지 오래된 IT 기업들

해외 학회에서는 인재 찾아 삼만리

지난 20일 오전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판교의 지하철역이 출근하는 직장인들로 붐비는 가운데 국내 IT 기업들의 인력난을 반영하듯 채용 공고가 역사 내 기둥 광고판마다 걸려 있다. /성남=권욱기자




지난 20일 오전10시 신분당선 판교역. 광교행 열차의 문이 열리자 한꺼번에 사람들이 쏟아져 나왔다. 회사를 향해 1번과 4번 출구로 종종걸음을 하는 인파 사이로 ‘개발자’ ‘채용’ ‘상시모집’ 등의 문구가 걸린 구인광고가 속속 눈에 띄었다. 에스컬레이터 옆 벽면도, 역사 내 기둥도 대부분 ICT 기업들의 개발자 채용 광고 차지였다. 출근을 재촉하는 직장인들이 기둥에 붙은 채용공고를 힐끗 보며 지나치는 가운데 아예 멈춰서 꼼꼼히 광고 문구를 읽는 사람도 있었다. 판교역 광고 담당자는 “23일부터는 네이버 경력 개발자 채용광고가 설치된다”며 “한 기업의 채용광고 게재가 끝나면 바로 다음날 다른 기업의 채용광고가 붙을 정도로 구인광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불과 어제까지는 판교역 1번 출구를 이용해 퇴근했다가 다음 날부터 다른 출구를 통해 출근하는 판교 직장인의 삶을 보여주는 풍경이다. 네이버·카카오(035720)·엔씨소프트(036570) 등 한국을 대표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몰려 있는 판교는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린다. 한국을 대표하는 ICT 인재들이 모이는 ‘판교밸리’에서조차 기업들이 오프라인으로까지 구인광고를 내고 다른 기업의 인재를 웃돈을 주고 데려오는 일도 서슴지 않는 치열한 ‘인재 구하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카카오의 B2B 계열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신입 공채 2차 인터뷰를 진행하는 가운데 직원들이 안내문 옆을 지나가고 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경력 개발자도 채용하고 있다. /성남=권욱기자



"AI는 한 달이면 두세발짝 앞설 수준"... 인재 찾는 사이 도태될까 불안감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디지털뉴딜’ 사업을 추진하면서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중심으로 ICT 산업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지만 정작 기업들은 인력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접목하거나 아예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기회들이 속속 포착되지만 정작 기업들은 인력 미스매칭 현상으로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다고 호소한다.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ICT 산업의 선두주자들마저 “인공지능(AI) 기술 같은 경우 한두 달 뒤처지면 시장에서 영영 도태될 수 있는데 인재가 모자라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며 “핵심인재를 구할 수만 있다면 적진의 심장에서라도 데려온다는 절박한 마음으로 인재 구하기에 뛰어들고 있다”고 입을 모을 정도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2018년 오는 2023년까지 DNA 산업에서 부족한 인재가 3만8,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불과 2년이 지난 현재 각 분야의 DNA 산업이 본격 성장하면서 기업들이 체감하는 인재부족 현상은 이보다 훨씬 심각하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분야의 사업기회가 폭발적으로 열리고 있어 신사업에 나서려는 기업들의 인재 구하기 전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D·N·A시대 변화와 갈등, 우리의 대응은?’이라는 주제로 열린 제24차 목요대화에서 한성숙(왼쪽 두번째) 네이버 대표와 정세균(오른쪽) 국무총리가 악수 대신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은 말할 것도 없고 중국과 비교해도 국내 인공지능(AI) 개발자 인력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기업 경쟁력 측면에서 인력 확보가 중요한데 뽑고 싶어도 뽑을 개발자가 없습니다.”(한성숙 네이버 대표)

“데이터를 이해하고 가공·분석·적용할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처리 관련 인력을 보강하지 않으면 너무 힘든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여민수 카카오 대표)



네이버의 한성숙 대표와 카카오의 여민수 대표는 지난 12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서 열린 ‘목요대화’ 때 정세균 국무총리를 만나 업계의 가장 필요한 현안에 대해 말해보라고 하자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인재가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투톱’으로 불리는 두 회사의 대표가 국무총리에게 건의한 가장 큰 과제는 규제 완화나 진흥정책이 아닌 바로 인재부족이었다. ICT 관련 기업 종사자들은 물론 취업준비생들도 이직 및 취업 1·2순위로 꼽는 네이버와 카카오마저 이 정도로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는 것이다.


공채 사라진지 오래됐는데 ... 개발자는 대규모 공채

실제 ICT 업계에서는 통상 인력채용 시 대규모 공채보다는 수시 경력 채용을 실시하지만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등의 개발인력 채용은 예외다.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지난 9월 신입 개발자 대규모 공채 공고를 내고 채용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는 불과 두 달 만인 이달 18일 경력 개발자 대규모 공채 공고를 다시 냈다. 경력 개발자들이 워낙 부족한데다 다른 회사에서 일하던 인력을 데려오기도 쉽지 않아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 채용을 진행하는 것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개발자가 늘 부족한 상황”이라며 “여러 프로젝트와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이례적으로 대규모 공채를 추가로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역시 최근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는 핀테크 계열사인 카카오페이와 B2B 계열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대규모로 경력 개발자를 채용하고 있다. ICT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석박사를 마쳤다고 해도 직접 현장에서 데이터를 다뤄본 경험이 없다면 뽑고 나서도 교육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 결국 경력 채용을 우선순위로 하고 있다”며 “개발인력 공급이 획기적으로 늘지 않는 한 기업끼리 서로 핵심인재를 뺏고 뺏앗기는 경쟁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20일 점심시간 판교의 직장인들이 유스페이스몰로 향하는 다리를 건너고 있다. /성남=권욱기자



해외 학회 갈 때마다 대학에 눈도장 찍는 기업들

ICT 기업들은 국내 인재 공급이 부족하다 보니 해외로 눈을 돌리기도 한다. 해외에서 DNA 산업 관련 학회가 열리면 직접 찾아가 스카우트에 나서기도 하고 해외 기업의 유망한 연구자들을 물색하기도 한다. 한 ICT 업계 임원은 “한국 기업들이 북미 지역으로 학회나 출장을 가면 ‘AI 대가’로 꼽히는 제프리 힌턴 교수가 있는 캐나다 토론토대에 가서 힌턴 교수의 제자들을 영입하기 위해 눈도장을 찍는다”며 “같은 시기에 가면 같은 목적으로 토론토를 방문한 한국 사람들과 자주 마주친다”고 전했다.

기업 인지도가 떨어지고 인재 영입을 위한 ‘실탄’이 부족한 스타트업이나 중소 규모의 ICT 기업들은 경쟁이 더 치열하다. 쿠팡은 7월 경력 개발자 200명을 공개채용하면서 ‘사이닝 보너스 5,00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공고해 화제를 모았다. 토스·뱅크샐러드 등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핀테크 스타트업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근무한 개발자들을 리더급으로 영입하면서 ‘묻지 마 연봉’을 지급했다. 벤처캐피털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등 대기업에서도 눈독을 들였는데도 실리콘밸리 출신 개발자들이 핀테크 기업을 선택한 것은 연봉이나 처우가 대기업 임원급 이상이거나 스톡옵션 등 다양한 옵션을 붙였기 때문”이라며 “우수한 개발인력 영입경쟁에서 이기려면 파격적인 연봉 외에 회사의 비전이나 성장 가능성 등에 대해서도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공감대를 얻어야 한다”고 전했다. 한 스타트업 대표는 “인재를 채용할 때 회사 대표가 지원자에게 회사에 대해 어필하는 ‘역면접’을 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며 “투자유치뿐 아니라 인재유치도 대표의 능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일부 기업들은 기업 간 협력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카카오·삼성전자·SK텔레콤은 AI 협의체를 출범시켰고 KT 역시 KAIST·한양대 등과 ‘AI 원팀’을 맺고 개발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도 네이버 커넥트재단에서 ‘부스트 캠프’를 진행하기 위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교육·컨설팅 전문 스타트업인 ‘업스테이지’와 손을 잡았다. 이활석 업스테이지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기술의 경우 이론이 검증받기까지 사이클이 한 달에 불과할 정도로 변화가 빠르다”며 “당장 현장에서 AI로 문제를 풀어낼 수 있도록 개발자들을 양성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정혜진기자 made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