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野 ‘정권심판론’ 통할까…변수는 ‘反與 2030’ 투표율

4·7 재·보선 변수는 反與 돌아선 2030 투표율

과거 선거 보면 투표율 보단 지지층 결집이 중요

'야당 후보 당선 돼야' 20대 48.7% 30대 61.3%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충남 서산시 대산그린에너지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방문해 시설을 시찰하고 있다./연합뉴스




4·7 재·보궐선거가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2030세대 투표율이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일반적으로 투표율이 낮게 나오는 재보선에서 반여(反與) 성향으로 돌아선 2030세대가 투표장에 많이 나타난다면 야권에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총선이나 대선과 겹치지 않는 해에 치러지는 재보선은 평일에 진행돼 학교나 직장에 다니는 유권자들의 참여율이 낮다. 2000년 이후 평일에 실시한 6곳의 광역단체장 보궐선거 투표율은 30~40%대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투표율이 낮을수록 조직력이 강한 정당에 유리하다’거나 ‘투표율이 높을수록 진보 정당에 유리하다’는 말들이 오가기도 한다.

역대 광역단체장 보궐선거 결과에 따르면 투표율과 관계없이 야당이 대부분 승리하는 모양새였다. 2004년 6·5 재보선 당시 부산·전남·경남·제주 4곳의 투표율은 각각 33.0%, 36.3%, 32.8%, 49.8%로 폭이 넓었다.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은 4곳 모두에서 참패했다. 2011년 4·27 재보선에선 당시 야당이었던 민주당의 최문순 후보가 투표율 39.7%의 강원지사 선거에서 승리했다. 같은 해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투표율 45.9%를 기록했고 당시 박원순 무소속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로 당선됐다.

재보선은 낮은 투표율 때문에 지지세력 결집이 중요한데, 정권심판론을 앞세운 야당이 더 유리했을 것이란 해석이 가능하다. 현재 국민의힘과 국민의 당 또한 이번 4·7 재보선에서 박원순·오거돈 성추행부터 LH 사태에 이르는 민주당 실정(失政)을 부각하며 야권 지지층을 규합하고 있다.

오세훈(가운데)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와 안철수(오른쪽) 국민의당 서울시장 후보가 19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서 각각 후보자 등록을 했다. 박영선(왼쪽)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전날 대리인을 통해 후보자 등록을 마쳤다./연합뉴스




이에 정치에 무관심하다고 여겨져 온 젊은 층의 투표율 상승세가 변수로 떠올랐다. 20대 후반 유권자의 투표율은 2010년 지방선거 때 37.1%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낮았는데 2018년 지선 때는 51.0%로 올랐다. 다른 연령층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지만 이들의 투표율 상승세는 가파르다. 20대 전반 유권자의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은 2008년 32.9%에서 2020년 60.9%로 85%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50대 유권자의 투표율은 60.3%에서 71.2%로 18% 증가했다. 전체 유권자에서 2030 세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1대 총선 기준 31.2%였다.

2030세대에서 문재인 정부 지지율이 급락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투표율이 높아질수록 야당의 정권심판론이 우세해질 가능성이 크다. KBS·MBC·SBS 지상파 방송3사가 공동으로 여론조사 기관 3곳(한국리서치·코리아리서치·입소스)에 의뢰해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대의 48.7%와 30대의 61.3%가 이번 재보선에서 ‘국정운영에 대한 심판을 위해 야당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별로 못하고 있다’ 또는 ‘전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각각 56.3%, 62.4%로 나타났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 36.6%,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원회 홈페이지 참고)

21일 오전 서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 후문 입구에 설치된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를 독려하는 조형물 앞에서 시민들이 사진을 찍고 있다./연합뉴스


한편, 여당은 서울 전체 49개 국회의원 의석 중 41석을 차지하고 있는 등 조직력을 바탕으로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치를 예정이다. 지난 15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공동 상임선대위원장은 “우리가 구청장도 압도적으로 많고 시의원, 구의원도 압도적으로 많다”고 말했다. 그런데 여당심판론을 주장하는 2030세대가 투표장으로 많이 향할수록 여당의 지지층 결집 효과도 상쇄 될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1대 총선 당시 60대 유권자의 투표율이 80%에 달했지만 보수정당이 지는 결과가 나왔다. 당시 역대 최고(最高) 투표율을 기록한 2030 유권자들이 민주당에 표를 줘 60대 결집 효과를 희석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남균 기자 sout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