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SEN]셀리버리 "글로벌 제약사에 TSDT 세포투과능 데이터 제출"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셀리버리(268600)는 6일 최근 서유럽에 위치한 글로벌 Top 20 제약사로부터 TSDT 플랫폼기술의 세포투과능 (cell-permeability)을 정량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6개월에 걸쳐 개발된 검증시험시스템 (feasibility test system)을 제공받았고, 이 검증시험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난 3개월에 걸친 검증시험을 통해 확보한 정량적, 시각적으로 확실한 세포투과능 데이터를 이 글로벌 Top 20 제약사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개발프로젝트 (research collaboration agreement: RCA)는 2020년 9월 '형광단백질모델을 이용하여 약리물질 표적전송을 위한 셀리버리 전송기술의 응용의 실행계획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Cellivery’s delivery technology for targeted delivery of a biologic payload using a model split-GFP system)' 이라는 제목으로 이 글로벌 제약사의 요구에 따라 현재 그들에게 가장 시급한 약물전송의 한계점을 가진 분야인 유전자간섭 (RNAi) 물질에 적용시키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이것에 TSDT 플랫폼을 적용하자는 제안 (“We are aware your main experience lies within proteins or peptides; however, the antisense approach is our most urgent modality we’d like to link to your CPPs” ? BD Director, External Innovation 파트)이 왔었다고 밝혔다. 또한, 이 글로벌 제약사와의 논의 초기에는 안전성 (safety data) 검증을 원했고, 셀리버리가 제공한 독성시험결과를 확인한 후 '믿을만하다 (promising)' 라는 결론을 내리며 (“Overall we can state that the tox studies show a promising outcome”), 큰 기대를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이 글로벌 제약사에 의하면, 각국에 흩어져 있던 여러 분야 내부 연구진들이 한데 모여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에 대한 종합논의를 가졌고, 셀리버리의 TSDT 플랫폼기술에 대한 강한 요구 (need)와, 당장 시급한 유전자간섭물질 (siRNA) 이외에도 다양한 약리물질에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고 (“Colleagues have expressed strong interest to follow-up and will discuss potential project ideas” - BD Director, External Innovation 파트) 셀리버리 관계자는 전했다.



셀리버리는 이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공동개발 진행을 위해 필요한 물질이전 (material transfer)과 검증시험 결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빨리 달라는 요청이 있었으며 (“Could you send us an updated timeline for when we can expect the delivery of the conjugated proteins for Split-GFP Complementation Assay?”), 이에 따라 셀리버리는 이 제약사가 보내준 검증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사보유 aMTD 단백질을 적용한 검증시험을 통해 확보한 정량적, 시각적 데이터 패키지 (data package)를 전송완료 했다고 밝혔다.

셀리버리 사업개발본부 책임자는 “최근 다양한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세포투과성 유전자치료제 (ASO 및 siRNA) 공동개발에 대한 제안이 들어오고 있으며, 이미 아시아 2위 제약사와 공동개발 진행중인 유전자간섭 치료제 (aMTD-ASO)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의 신뢰가 쌓이고 있는 것이 느껴진다”며, “이번 글로벌 Top 20 제약사와의 공동개발을 통해 당사의 TSDT 플랫폼기술이 현재 바이오·제약업계에서 화두가 되고있는 유전자간섭 (RNAi) 신약물개발에 당사 TSDT 플랫폼기술이 라이센싱·아웃 (L/O) 되어 융합플랫폼기술의 가치를 신약개발로써 증명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blu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청석 기자 SEN금융증권부 blue@sedaily.com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