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이 약 2년 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한 대출 원금과 이자가 139조 원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의 언급대로 대출연장·원리금 유예 조치가 3월말 재연장되지 않으면 대출 부실 ‘시한폭탄’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여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연착륙 방안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금융 지원으로 납기가 연장된 대출과 이자의 총액이 올해 1월 말 기준 총 139조4494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이 129조6943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9조6887억 원도 미뤄줬고 같은 기간 이자 664억 원도 유예됐다. 특히 이자 유예액의 경우 한국은행이 집계한 지난해 12월 말 기준 기업의 평균 대출 금리(연 3.14%)를 적용하면 원금이 약 1조573억 원인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5대 은행이 코로나19와 관련해 140조5067억 원에 이르는 잠재 부실 대출을 떠안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만기 연장·유예조치가 오는 3월 4번째 연장 없이 종료될 예정이라는 점이다. 고 위원장은 지난달 19일 “만기 연장·상환유예 조치는 3월 말 종료를 원칙으로 하되 종료 시점까지 코로나 방역상황, 금융권 건전성 모니터링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 금융당국은 은행 등 금융권과 다음 주부터 잇따라 비공개회의를 열고 본격적으로 소상공인·중소기업 금융지원 종료 이후 대책, 컨설팅 등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7일 비공개로 KB국민은행·신한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 등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고위 담당자들과 함께 ‘소상공인 비(非)금융 지원 방안’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아울러 금융위는 다음 주부터 주요 시중은행의 여신 담당 임원(부행장급)과 비공개로 ‘코로나19 소상공인·중소기업 금융 지원 방안’과 관련해 개별 면담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도 이미 대출 부실화를 막기위해 부심하고 있다. 은행들은 지원 대상 소상공인·중소기업들에 유선 또는 SMS(문자서비스) 등을 통해 유예 종료일과 납입기일 등을 안내했고, 상담을 통해 대출자들과 함께 지원 종료 이후 상환 계획을 짰거나 짜고 있다. 신한은행의 경우 △분할상환 기간을 총 유예기간의 3배 이내(최대 5년)로 연장해 대출 잔액을 균등분할 △유예이자 납부 기간을 총 유예기간의 5배 이내(최대 5년)로 연장 △거치 기간 연장 등 3가지 연착륙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KB국민은행도 비슷한 조치와 함께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신용등급이 떨어지더라도 금리 인상 폭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식으로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같은 연착륙 프로그램을 가동해도 대출·이자 상환이 시작될 경우 한계에 이른 자영업자 등 취약층의 파산이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특히 여러 기관에서 대출을 끌어다 쓴 다중채무자들이 고위험군으로 지적된다.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개인사업자(자영업자) 가운데 3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27만2308명으로 2019년 말 12만8799명에 비해 2.1배로 늘었다. 다중채무자 1인당 대출액도 평균 5억7655만원에 이르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