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조 원에 달하는 이상 외환거래가 암호화폐와 관련된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일 년여 전에 5대 은행에 이 문제를 여러 차례 경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신한·우리은행 외에 다른 은행에서도 이상 외환거래로 볼 수 있는 자금 거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금감원의 검사가 모든 은행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해 국내 암호화폐 시세가 해외보다 비싸게 형성되는 ‘김치 프리미엄’을 노린 거래가 늘자 그해 4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외환 담당 부서장을 상대로 화상회의를 열고 주의를 촉구했다. 금감원은 당시 이들 은행에 외환거래법 상 확인 의무, 자금세탁방지법상 고객 확인제도, 암호화폐 거래소가 거래금을 안전하게 관리하는지를 확인하는 강화된 고객 확인(EDD) 제도 등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이 외에도 금감원은 외국환 거래 운영 협의회를 통해 관련 유의 사항을 요청했었다. 그러나 금감원의 거듭된 경고에도 은행권에서 다시 이상 외환거래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은행들에 따르면 국민·신한·농협은행 등은 금감원이 제시한 마감 시한인 지난 29일까지 이상 외환 거래와 관련한 자체 점검 결과를 제출했다. 금감원은 은행권에 △2021년 이후 신설업체 가운데 외환송금액이 5000만 달러 이상이고 자본금의 100배 이상인 거래 △암호화폐거래소 연계계좌를 운영하는 신한·전북·농협은행·케이뱅크와 입금 거래가 빈번한 경우 △특정 영업점의 외환송금 실적에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등을 중점 점검대상으로 꼽아 검사할 것을 주문했다. 이 기준에 따른 점검대상 거래규모는 현재 금감원이 검사 중인 거래를 포함해 44개 업체에서 총 7조 원이다. 이번 점검 대상에는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지방은행과 인터넷뱅크 등 은행들이 모두 포함돼 있어 적발될 이상 외환거래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금감원은 은행으로부터 자체 점검 결과를 받아 살펴본 뒤 추가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8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자금이) 가상자산거래소를 매개로 원화자산을 외화로 바꿔 유출됐다. 가상자산 투자와 관련해 어떤 시장교란성 성격이 강하다”며 “감독 시스템도 왜 그런 부분이 누락됐는지 개선방안 준비하겠다”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