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신영준 "필요 인력 절반밖에 못 뽑아…순수과학서 공학까지 이공계 키울 지원책 절실"

■신영준 LG엔솔 CTO 인터뷰

2차전지 분야 1000명 이상 부족

배터리·반도체 인력 수급 불균형

"수학·화학 등 다양한 인재 길러야"

신영준 LG에너지솔루션 CTO가대전 기술연구원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배터리 산업이라고 해서 필요한 인력이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수학·유기화학·통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재를 충원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너무 부족한 상황입니다.”

5일 LG에너지솔루션 대전 기술연구원에서 만난 신영준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배터리 산업 현장의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인력 부족’을 꼽았다. 한국전지산업협회에 따르면 2차전지 분야에서 석·박사급 연구 및 설계 인력은 2020년 기준 1013명 부족하다. 같은 기간 배터리 산업 인력 부족률은 13%에 달한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연이어 국내 유수 대학과 ‘배터리 계약학과’를 설립해 직접 인력을 양성하고 나섰지만 분명한 한계도 존재한다고 신 CTO는 꼬집었다.

신 CTO는 “실제로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력의 절반 수준밖에 뽑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단순히 배터리 전문 지식을 공부한 사람만 부족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면 배터리에 다양한 소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유기화학·합성 등 순수 과학을 공부한 인력도 필요하고 스마트팩토리를 지원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경험한 인력도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신영준 LG에너지솔루션 CTO가 대전 기술연구원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과학기술 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는 이전부터 업계에서 꾸준히 제기돼 온 이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출산율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는 나라로 과학기술 분야의 중장기 인력 수급난이 더욱더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과학기술 연구 인력 부족 인원은 2019∼2023년 800명에서 2024∼2028년에는 4만 7000명으로 부족 인원이 약 60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최근 수도권 대학 등을 포함해 반도체 학과 정원을 늘리는 등 반도체 분야에 대한 우선적인 인력 양성 방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비수도권 대학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등 형평성의 문제가 제기되며 해당 정책이 배터리를 비롯해 미래차, 인공지능(AI) 등 다른 미래 산업으로 확대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세계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가고 있는 중국과 격차를 벌리기 위해서라도 인력 양성은 시급한 문제다. 신 CTO는 “중국이 기술적으로도 한국을 많이 쫓아오는 게 사실”이라며 “(LG에너지솔루션이) 연구개발(R&D) 투자도 늘리고 있지만 당장 현장에서 그만큼 투입할 사람이 없어서 문제”라고 토로했다. 글로벌 1위 배터리 업체 CATL을 보유한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 지원 아래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이 크게 확대됐고 배터리에 들어가는 각종 원자재도 원활하게 수급받고 있다. 원자재 수급과 시장 규모 측면에서 핸디캡이 있는 한국으로선 경쟁국과 차별화된 기술력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신 CTO는 이 같은 인력 양성을 특정 산업의 문제로 봐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공계 자체를 강화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학생들도 반도체·배터리·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으로 진출할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순수·첨단 과학, 기술, 공학 등 이공계를 전반적으로 강화할 지원책을 마련하면 배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래 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의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