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가 학교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한 가운데 까다로운 검정 심사를 통과한 발행사 비율이 98%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술적 결함이 있었던 기존 AIDT의 성능을 크게 개선해 얻은 성과인 만큼 발행사들은 사용 기회 박탈을 막기 위해 AIDT 시범 운영 기간을 1년 더 연장해야 한다고 보고 정치권 설득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15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가 이달 4일 통보한 2025년도 AIDT 교과목 검정 본심사 결과 한 에듀테크 기업의 중학교 영어 교재를 제외한 73종이 통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2차 연도에는 12개 출원사가 74종을 검정 신청했는데 통과율(98%)이 1차 연도(146종 중 76종 통과·52.1%)와 비교해 크게 오른 셈이다.
업계는 지난해의 경우 개발 초기인데다 기한도 촉박했지만 이번에는 AIDT 성능이 확연히 개선된 결과라고 평가한다. 한 발행사 대표 A 씨는 “1차 AIDT가 70점짜리였다면 이번에는 90점 수준”이라며 “업계끼리 경쟁적으로 기능을 추가하면서 개발비도 늘었다”고 전했다.
문제는 개선된 AIDT가 정작 교실에서 쓰일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이다. AIDT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격하한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10일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한 데 이어 23일 본회의도 통과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기 때문이다. 시도 교육청도 개정 이후 2학기 사용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이날 열린 새정부 정책 제언 기자회견에서 “아직 학교별 이용 신청을 받지 않았다”며 “1학기에 AIDT를 실사용한 교사·학생들의 평가를 토대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발행사 측은 1차 연도 AIDT 평가에 기반한 2차 연도 AIDT 사용 결정이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발행사 대표 B 씨는 “초안만 보고 쓸모를 판단하기에는 너무 많이 바뀌었다”며 “교원 연수·인프라 부족 등 학교 측 문제도 있었는데, 모든 기술적 결함을 AIDT 자체에 덮어씌우는 것도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이에 발행사 측은 AIDT의 교과서 지위는 유지하되 사용 여부는 학교 자율에 맡기는 방식으로 1년의 추가 유예기간을 달라는 제안을 국회와 대통령실에 전달했으며 발행사 전체가 참여하는 시위도 이달 중 검토하고 잇는 것으로 전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