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日백화점 61년만에 파업…고용·임금투쟁 '신호탄'

소고·세이부, 백화점 61년만에 파업

고용 안전성 등 이유 매각 반대 주장

경쟁사 노조까지 연대·공동투쟁까지

장기 침체 속 고용 환경 악화가 영향

"임금 수단으로 파업 활용 늘어날것"

기시다 30년까지 최임 1500엔 목표

31일 도쿄 도시마구 이케부쿠로의 세이부 백화점 앞에서 세븐&아이홀딩스의 소고·세이부 백화점 매각에 반대해 파업에 나선 백화점 노조가 팻말을 들고 서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오랜 시간 단체 행동을 꺼려왔던 일본 노조에 변화가 일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인력 부족으로 고용을 둘러싼 환경이 악화하면서 노동쟁의를 통해 요구를 관철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한 것이다. 갈등이 적은 노사 관계가 한때는 일본형 경영의 힘으로도 여겨졌지만 물가 불안과 이를 따라가지 못한 채 20년 넘게 정체된 임금 등이 수십 년 이어진 ‘무분규 노사 협상의 판’에 새 전기를 불러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1일 복수의 일본 언론에 따르면 세븐&아이홀딩스 산하 백화점 ‘소고·세이부’ 매각에 반발하는 소고·세이부 노동조합은 이날 도쿄도 도시마구에 위치한 세이부 이케부쿠로 본점에서 파업을 시작했다. 대기업 백화점에서의 파업은 1962년 한신백화점 이후 61년 만이다.

세븐&아이가 자회사인 백화점을 미국 투자 펀드에 매각하려는 과정에서 노조와 마찰이 빚어졌다. 세븐&아이는 백화점 부진과 이에 따른 주주들의 수익 개선 요구에 편의점 부문에 집중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소고·세이부를 정리하기로 했다. 문제는 주식을 양도받을 펀드의 비즈니스 파트너인 일본 가전 양판 사업자 요도바시HD가 주요 점포 출점을 검토해 기존 백화점 매장 구성 및 직원들의 고용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는 것이다. 노조의 강경 대응으로 매각에 속도를 내지 못하던 사측은 이날 임시 이사회를 열어 9월 1일자로 백화점 주식을 양도하기로 최종 결의했다. 세븐&아이는 매각 뒤에도 고용을 유지하고, 잉여 인원은 세븐 그룹 내 업무에 투입한다는 입장이지만, 직원들은 ‘전 주인’의 약속이 얼마나 지켜질 수 있겠느냐는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61년 만의 백화점 파업은 일본 노사 문화의 기류가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일본은 그동안 ‘무분규 노사 문화’가 미덕처럼 받아들여지는 대표적인 나라였다. 대부분의 노조가 기업별로 조직돼 노사 협조가 원만히 이뤄진 데다 버블 붕괴 이후 고용을 지키는 것이 우선순위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후생노동성의 연도별 노동쟁의 건수 통계를 보면 1974년 5197건으로 최다였던 일본 내 파업(반나절 이상 동맹 파업) 건수는 이후 급감해 1990년에는 283건까지 쪼그라들었고 지난해에는 33건에 머물렀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를 인용해 보도한 자료에서도 노조의 파업에 따른 연간 노동 손실 일수가 미국 약 150만 일, 영국·독일 약 20만 일에 비해 일본은 1388일로 대조적이었다.

일본 내에서도 ‘근로자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올 만큼 온건화돼 있던 노조는 최근 임금 정체와 물가 부담, 노동인구 부족 등 고용 환경을 둘러싼 상황이 악화하자 다시 강경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번 파업에 당사자인 소고·세이부 노조뿐만 아니라 경쟁사인 다카시마야·미쓰코시이세탄 백화점 노조가 연대해 함께 목소리를 낸 것도 이런 변화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오학수 일본 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 특임연구원은 닛케이에 “이번 파업은 매각 후 고용 확보를 이유로 시작된 것이지만 임금(인상) 등의 수단으로 파업을 활용하려는 노조가 늘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이날 총리 관저에서 열린 '새로운 자본주의 실현 회의'에 참석해 "임금 인상에는 더 높은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2030년대 중반까지 최저임금 전국 평균 시급이 1500엔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