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내 증시 공황국면/투매… 투매… 악순환만
입력1997-10-29 00:00:00
수정
1997.10.29 00:00:00
김형기 기자
◎4일새 100P이상 폭락… 매수세 실종/특단 부양책 없는한 자력회생 불능주식시장이 끝없는 나락으로 빠져들고 있다.
종합주가지수는 지난 24일이후 불과 4일만에 1백포인트 이상 폭락했으며 28일 하룻동안 하한가 종목만 5백92개에 달하는 주가 대폭락 사태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홍콩등 동남아증시에 이은 뉴욕 증시 주가대폭락 여파로 국내 증시도 추락하는 주가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투매가 투매를 부르는 최악의 상황이 전개되며 「증시공황」을 맞고 있다.
최근 주가 폭락의 최대 요인은 홍콩등 동남아 금융시장 위기에 따른 외국인의 무조건적인 주식투매다.
실제로 외국인 투자가들은 동남아 통화위기가 심각하게 불거진 이후 국내 주식을 지속적으로 처분하기 시작해 ▲지난 8월 8백70억원 ▲9월 2천9백5억원 ▲10월27일 현재 6천2백39억원의 주식순매도를 기록했다.
외국인투자가들이 국내 주식을 투매하는 이유는 ▲미달러화 대비 원화환율 상승으로 막대한 환차손 우려 ▲기아그룹 사태등으로 국내 금융시스템이 붕괴되면서 기업부도가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 ▲외환 및 자금시장 불안정으로 국내 경기의 회복속도가 예상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증권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외국인투자가들이 가장 큰 투자지표로 활용하는 환율의 경우 작년말 1달러당 8백20원에서 최근에는 9백50원대로 올라서 올해만 주가등락과 무관하게 가만히 앉아서 1백30원가량의 손실을 입고 있다.
게다가 홍콩등 동남아 금융시장의 혼란으로 아시아 금융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가중되면서 전세계를 대상으로 투자하는 연기금 및 초대형펀드들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 전체에 대한 투자비중을 줄이기 시작했다는 점도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자가들이 보유중인 주식의 규모는 전체 상장주식수의 12∼13%에 해당한다. 주식시장의 전체 유동주식수가 상장주식의 35∼36%에 달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외국인들의 주식투매를 받아낼 국내 매수세력은 사실상 전무한 형편이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 매도는 가뜩이나 투자심리가 불안정한 국내 기관 및 일반투자자들의 동반 투매를 유발시키고 있다. 실제로 외국인이 주식을 매도할 기미만 보이면 국내 기관 및 일반투자자들은 서둘러 보유주식을 처분하기에 바쁜 상황이다.
여기에다 주가 폭락으로 신용융자 담보부족계좌 발생에 따른 반대매매마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 투매가 투매를 부르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증권 전문가들은 이와 함께 기아그룹 사태 해결이 지연되면서 국내 금융시스템이 붕괴된 것과 차입경영에 크게 의존하는 기업들의 취약한 체질도 최근 증시 공황을 가속화시킨 주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연초 이후 한보, 진로, 대농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부도로 좌초된 데이어 기아그룹마저 자금난을 이겨내지 못함에 따라 은행등 금융기관의 기업에 대한 대출기피는 이미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
특히 기업 부도파장에 가장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종금사등은 기한이 만료되지도 않은 대출자금마저 회수하기 시작함에 따라 멀쩡한 중견, 중소기업들마저 흑자도산하는 최악의 신용공황 상태가 이미 수개월째 진행되고 있다.
증시 내부적으로도 악성 매물인 신용융자 잔액이 3조1천1백73억원에 달하는 반면 주식매수 에너지인 고객예탁금은 이보다 6천억원가량 부족한 2조5천3백39억원에 불과해 심각한 수급불균형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이밖에 주식시장이 위기상황으로 빠져든데는 정부의 뒷북치기식 정책도 한몫을 하고 있다.
최근까지도 정부는 외국인 주식투자한도 추가확대 일정 발표를 놓고 차일피일 미루는가 하면 일본 및 독일 투자가등을 대상으로 한 주식양도차익 비과세 방침등도 할듯 할듯하면서 결국 주식시장이 최악의 나락으로 떨어지자 그제서야 마지못해 내놓는 모습을 나타냈다.
증권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이같은 조치들은 주식시장이 정상적인 상황에서 벗어나지 않았을 때 약효가 있는 것들』이라며 『현재의 주식시장 상황은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이라고 지적, 투자심리 안정은 물론 수급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직접적인 부양조치가 마련되지 않는 한 공황상태에 빠져든 주식시장을 회생시키기가 불가능한 시점이라고 비난하고 있다.<김형기 기자>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