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도전과 대안.."색다른 영화제"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최민 조직위원장(영상원 원장)은 “조금은 다른 축제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다르다’는 말은 부산영화제나 부천영화제와의 차별성을, 나아가 영화에 대한 통념과 고정관념을 넘어서겠다는 뜻이다. 그래서 대안영화를 찾고, 새로운 세기의 화두가 된 디지털영화를 만들고, 그것을 처음 디지털 프로젝터로 상영하며, 작지만 반짝이는 아시아 독립영화를 지지하는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CIFF). 예향(藝鄕)인 그곳 음식처럼 정갈하고 독특한 축제가 홍상수 감독의 신작 ‘오, 수정’의 월드 프리미어를 시작으로 28일부터 5월 4일까지 막을 올린다. 세계 각국 작품들(170여편)을 상영하고, 스타들이 오고, 거리에서 이런저런 행사를 벌이는 것은 여느 영화제와 비슷하지만, CIFF는 그 시선이나 느낌이 분명 다르다. 메인프로그램에는 세계영화의 새로운 경향으로 대중성에 도전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시네마스케이프’(18편)가 있고, 디지털영화들의 반란현장인 ‘N_ 비전’(18편)이 기다린다. 동아시아의 젊고 깊은 영화 17편은 ‘아시아 인디영화 포럼’에 모이고, 장·단편영화 20편이 자신들이 서야 할 자리를 생각하는 ‘한국영화’의 시간도 있다. CIFF가 새 천년의 시작으로 선택한 섹션2000은 상상과 도전과 추앙의 마당이다. 다큐멘터리와 번갈아 2년마다 선보일 ‘애니메이션 비엔날레’는 동화 너머 숨은 진실을 찾는 ‘상상의 집’(17편)과 ‘상상의 미로’(23편)를 드나든다. ‘오마주’(18편)는 여성영화의 거장 샹탈 에커만(벨기에), 대안영화를 만들어 온 알렉산더 소쿠로프(러시아)와 후샤오시엔(대만)에게 바치는 경배. ‘회고전’은 정치적 아방가르드 영화 8편을 경험하는 자리. 1960, 70년대 미국 B급영화의 대부 로저 코먼 감독의 밤(29일)과 공포와 판타지의 ‘아시아 인 히스테리아(ASIA IN HISTERIA)’(30일), 7시간 18분짜리 영화 ‘사탄 탱고’(5월 1일)로 밤을 지새는 ‘미드나잇 스페셜’이 전주를 잠 못들게 한다. ■ 특별프로그램도 대안영화제답다. 디지털을 화두로 잡은 워크샵과 트랜스아시아영화를 주제로 심포지움을 열고, ‘디지털 삼인삼색’이란 이름으로 한국의 박광수와 김윤태, 중국 장위엔 감독이 N(새로운 세대, 새로운 기술, 네트워크)을 주제로 각자 30분 길이로 만든 작품을 상영한다. 변영주 감독이 전주 영화제를 기념해 만든 다큐멘터리 ‘지역영화사_전주’와 시민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한국과 독일영화 15편도 준비했다. 상영관은 전북대 문화관, 덕진예술회관, 시내 8개 극장과 덕진공원 야외극장. ■이벤트와 초청 해외감독들 개·페막식 (28일과 5월 4일 오후 7시·전북대 문화관) 사회는 ‘구멍’의 주연 안성기_김민, 문성근_방은진 커플이 맡는다. 전야제에서는 영화비 건립식을 갖는다. 영화제 동안 ‘영화의 거리’(오거리 진입로~ 새하나 백화점)가 조성되고, 그곳에서 매일 우리 영화인들의 얼굴을 떠서 보관하는 페이스 프린팅 행사도 볼 수 있다. 만화영화 마니아 자신들이 좋아하는 게임이나 만화 속 캐릭터의 옷을 입고 흉내내는 ‘고스툼 플레이’도 마련했다. 영화제를 빛낼 스타는 홍콩의 장만옥과 양조위, 중국배우 진싱, 대만의 이강생, 일본의 시즈미 가오리. 감독으로는 대만의 후사오시엔, 완련, 황위샨, 훙훙과 홍콩의 왕자웨이, 말레이시아의 차이밍량, 중국의 지아장커와 왕취엔안, 일본의 야구치 시노부와 스와 노부히로 등이 전주를 찾는다. 미국의 로저 코먼과 수전 피티, 벨기에의 프레데릭 폰테인, 영국의 존 아캄프라, 체코의 이지 바르타 감독도 온다. ■CIFF 길라잡이 서울역과 전주역, 전주버스터미널에 안내 데스크가 있다. 전주에 도착하면 자원봉사자가 탑승한 셔틀버스(15분 간격)가 기다린다. 입장권은 전북은행 전국 지점, 전화 (700_3114, ARS)와 인터넷 (HTTP://WWW.CIFF.ORG)으로예매중이다. 일반 상영작 4,000원, 개막작과 1만 달러의 상금이 주어지는 아시아 인디포럼 수상작인 폐막작 8,000원, 미드나잇 스폐셜 1만원. 고사동에 있는 티켓마스터와 전북대문화관, 덕진예술회관에서의 현장 구입도 가능하다. 이대현기자 입력시간 2000/04/19 19:50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