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정몽구회장 취임] 현대 '직계' 후계구도 일단 마무리

현대그룹의 자동차부문 구조조정은 재계의 최대 관심사중 하나인 현대그룹의 후계구도 가시화와 함께 정부가 요구하고 있는 구조조정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정몽구(약칭 MK) 현대그룹회장(60)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회장을 겸임해 그룹의 자동차사업을 총괄하게 됨으로써 그동안 논란이 돼온 현대자동차 경영권 문제가 매듭되면서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후계체제에 대한 구도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현대그룹의 핵심인 현대자동차는 그동안 鄭명예회장의 셋째 동생인 정세영(SY)현대자동차 명예회장이 전담해 경영해왔다. SY는 타계열사 인력이 전입되는 것을 꺼릴 정도로 독자경영을 모색해왔다. 반면 鄭명예회장의 장남인 MK도 자동차사업에 강한 애착을 갖고 현대정공을 통해 갤로퍼와 싼타모를 생산해왔고 서산공단에 100만대규모의 자동차공장을 현대자동차와 별개로 건설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등 자동차사업에 강한 의욕을 나타내왔다. 그는 현대자동차의 내수판매회사인 현대자동차써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이런 정황속에서 MK가 현대자동차회장에 취임한 것은 鄭명예회장이 결국 그룹의 핵심인 현대자동차의 재산권을 동생이 아닌 장남에게 넘기겠다는 뜻을 구체화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MK가 작은 아버지가 경영해온 자동차부문을 경영하게 됨으로써 鄭명예회장의 직계 2세들에 대한 지분정리가 마무리됐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鄭명예회장은 슬하에 8남 1녀를 두고 있고 그동안 주요 계열사를 맡아 경영케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후계구도를 정리해왔는데 자동차부문만 이질적인 상황였다. 그러나 이번에 MK를 자동차회장에 임명함으로써 그룹 전 계열사에 대한 분할이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현대그룹은 이에 따라 앞으로 MK회장을 정점으로 운영되는 체제를 그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MK는 실질적인 장남이면서도 동생인 정몽헌(MH)현대그룹 공동회장이 건설과 현대전자, 종합상사 등 그룹의 모기업이자 핵심계열사를 맡아 경영하는 것과 대비돼 상대적으로 「소홀한 대접」을 받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왔다. MK는 그러나 이번에 매출액이 10조원이 넘고 그룹에서 최대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경영권을 확보함으로써 그동안의 관측을 한꺼번에 뒤집게 됐다. 특히 그는 현대자동차와 함께 기아자동차 경영권까지 갖게됨으로써 확고한 위상을 확보했다는 평이다. 현대는 기아와 아시아자동차 인수비용을 충당할 계열사 컨소시엄을 자동차 40%, 중공업 20%, 인천제철 15%, 현대산업개발 15%, 현대할부금융 10% 등으로 배정했는데 자동차와 중공업을 제외한 전 계열사가 MK 소유 계열사다. 따라서 MK는 80%의 기아와 아시아에 대한 지분을 확보하게 된 셈이다. 鄭명예회장 2세들은 이에 따라 실질적인 장남인 MK가 자동차와 인천제철 등을, 5남인 MH가 대북사업과 현대건설, 전자 등을, 6남인 정몽준의원이 현대중공업 등을 분할해 맡는 쪽으로 구도가 정해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3남인 夢根씨는 금강산업개발과 한무쇼핑을, 7남인 夢允씨는 현대해상화재보험을 갖고 일찌감치 현대에서 독립해 나갔고 8남인 夢一씨는 현대종합금융회장을 맡고 있다. 하지만 鄭명예회장이 그동안 동생들을 분가시키면서 그동안 업적에 비례해 계열사를 넘겨줘왔다는 관행을 볼 때 SY에게 어떤 부문의 계열사를 나눠줄지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현대자동차 경영권 인수과정에서도 SY의 반발때문에 적지않은 진통이 있었다는게 현대 내부의 전언이다. SY는 「형님」의 조치에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고 이 때문에 공식발표 전날인 2일 심야의 막판조율도 쉽지 않았다는 것. 현대 내부에서는 이와 관련 鄭명예회장의 바로 아랫동생인 정인영 한라그룹 명예회장이 경영하다 현재 매각을 추진중인 만도기계를 SY에게 넘겨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鄭명예회장은 그동안 자서전 등을 통해 자동차부품분야도 완성차처럼 세계적인 업체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비춰왔다. 한편 현대그룹 일각에서는 MK가 자동차의 경영권을 확보했지만 재산권까지 확보한 것은 아닌 만큼 자동차부문의 최종 후계자로 낙점된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대주주는 현대건설과 중공업이고 이들 회사의 대주주는 鄭명예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아산재단이라는 점때문이다. 결국 최종후계자 선택은 아직도 鄭명예회장 손에 달렸다는 얘기다. 【정승량 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