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일 유암코 이사는 1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산업구조의 변화와 효율적 기업 구조조정 체제의 모색’이라는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현 워크아웃 제도의 경우 채권자별 이해관계가 달라 신규 자금 지원이 어려워 구조조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중소 및 중견 기업은 민간투자자가 맡으며 대기업의 경우 구조조정 경험이 있는 민간투자자를 위탁운용사(GP)로 하고 채권금융기관이 유한책임출자자(LP)로 참여하는 사모펀드(PEF) 구조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이 같은 방안을 통한 전문 중대형 구조조정 투자자 육성이 필요하다”며 “기업 구조조정 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장을 통한 채권 매각 활성화 및 이 같은 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구조조정 전문기관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조조정의 틀이 ‘재무’ 중심에서 ‘사업’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석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까지의 구조조정은 재무적 측면에서 주로 이뤄져왔다”며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앞으로의 사업성을 면밀히 분석해 경쟁력 없는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새로운 사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사업구조조정’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미국이나 일본 등의 해외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한 한발 빠른 구조조정 또한 대안으로 제시됐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구조조정은 가능한 한 빨리 추진하는 것이 회생 가능성,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며 “일본의 경우 사업재편지원을 통해 사전적이고 자발적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뤄진 반면 미국 제네럴모터스(GM)의 경우 사후적 구조조정이 수많은 희생이 동반될 수 있음을 잘 보여준 사례”라고 밝혔다. /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