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요즘 중소·벤처기업을 중견기업으로 키우는 이른바 ‘스케일 업(scale up)’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스타트업이 많아지고 있지만 결국 중견으로 성장해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를 위해 금융지원 강화와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등 두 가지 축을 들여다보고 있는데 실제 굵직한 정책발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16일 청와대 정책실의 한 관계자는 “최근 창업기업이 늘어나고 있다”며 “여기서 멈출 것이 아니라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스타’ 중견기업 탄생으로 발전하는 ‘스케일 업’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 대통령 이하 정책실 관계자들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스케일 업이라는 단어는 이정동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가 쓴 저서 ‘축적의 시간’ ‘축적의 길’에 나온 것으로 경제·산업 등 전 분야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보다는 끊임없는 시행착오를 통해 쌓이는 경험이 성공의 열쇠가 된다는 의미다. 다만 청와대에서 말하는 스케일 업은 중소기업을 중견기업으로 키우는 것으로 이보다는 의미가 좁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 문 대통령은 15일 대·중견기업 간담회에서 김택진 NC소프트 대표, 김재희 이화다이아몬드공업 대표 등 중견기업인을 양옆에 앉히며 육성 의지를 드러냈다.
청와대가 스케일 업에 꽂힌 것은 무엇보다 일자리를 늘릴 수 있어서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전체 취업자 수에서 중견기업 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나라에 비해 낮다”며 “대기업도 종사자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중견기업이 많아져야 이들이 일자리를 다수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들이 중소기업 취업을 기피하는데 스타 중견기업이 많아지면 이러한 기피현상도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들만 많아져서 그들끼리 생존경쟁을 하는 것도 청와대는 바람직한 경제 생태계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유명한 중견기업이 많아져야 스타트업도 활성화되는 선순환이 구축될 수 있다.
핵심은 금융지원 강화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야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현재 정책자금이 창업 등에 집중되다 보니 엎어지는 곳이 많다. 또 결국 기술이 있어야 성장할 수 있어 R&D 지원 확대도 청와대는 염두에 두고 있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