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休]발길 닿는 모든 곳서 '神의 의미'를 되묻다

국민 97% 가톨릭 신자인 폴란드

폴란드 바도비체에 위치한 성모마리아 바실리카(대성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생가 바로 옆에 위치한 성당으로 이곳에서 요한 바오로 2세가 첫 영성체를 했다. 성당 앞에는 요한 바오로 2세의 동상이 서 있다.




폴란드 바도비체에 위치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생가로 현재는 요한 바오로 2세를 기념하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각국에서 몰려든 관광객들이 줄을 서서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성모 마리아 바실리카(대성전)앞 광장.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한국을 방문한 1984년과 1989년을 각각 새겨 넣었다.


지난달 22일 폴란드 남부에 위치한 바도비체. 내년이면 탄생 100주년인 요한 바오로 2세(1920~2005년)의 생가가 있는 곳이다. 작은 마을은 인적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한산했다. 때마침 일요일이라 모두 성당에 미사를 봉헌하러 갔다고 한다. 성인의 탄생지인 이유도 있겠지만 인구 3,800만 명 중 97%가 가톨릭 신자라는 폴란드 사람들의 신앙심을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폴란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구소련의 지배하에서도 신자가 꾸준히 증가하며 동유럽 최대 가톨릭 국가라는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박물관 내부. 탄생부터 성장기, 교황 재임 당시 모습 등 그의 유품·기록물들이 전시돼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박물관 내부. 탄생부터, 성장기, 교황 재임 시절의 모습을 비롯해 그의 유품·기록물들이 전시돼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박물관에 전시된 어린 시절 사진들. 오른쪽 위의 모습은 그가 9세에 첫 영성체를 한 후 찍은 것으로 세례를 준비하던 어머니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슬픔이 그의 눈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박물관에 전시된 그에 대한 기록물과 사진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박물관에 전시된 유품들. 그는 등산·카약 등 운동을 즐겼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박물관에 전시된 유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박물관에 전시된 내한 연도와 한국에서 가져온 흙. 재임 기간 방문한 나라에서 가져온 흙들과 방문 연도를 기록해뒀다. 다른 나라와는 달리 한국의 방문 연도 기록물이 삐뚤게 놓여진 것이 눈에 들어온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태어난 방.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생가 부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재임 시절.


요한 바오로 2세 생가

내년 탄생 100주년 맞아 신자로 북적

매일 기도 올리던 소박한 식탁에 숙연

◇‘폴란드인의 자부심’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먼저 2014년 박물관으로 새 단장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생가부터 찾았다. 어린 시절 카롤 보이티와(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본명)의 탄생부터 성장기, 교황 시절 터키인에게 저격을 받은 후 그를 용서하는 모습 등이 다큐멘터리 영화의 장면들을 쪼개 펼쳐놓은 듯 전시돼 있다. 곳곳에 전시된 요한 바오로 2세의 일생을 비롯해 사목활동 등은 무한한 종교의 힘과 역할을 다시금 생각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부모가 가난해서 2층의 방 2개에 세 들어 살았다는 생가는 매우 단출했다. 그러나 가족들이 모여 앉아 묵상했던 식탁과 매일 기도를 올렸던 기도대 등은 소박하고 아담해 오히려 경건함과 성스러움을 더했다. 식탁에 앉으면 바로 그가 첫 영성체를 한 ‘성모 마리아 바실리카(대성전)’가 눈에 들어온다. 그는 어린 시절 이곳에 앉아 성당 벽면의 해시계 그림자를 바라보며 영성을 키웠다고 한다. 특히 식탁 위에 놓인 ‘시간은 흐르나 영원함이 기다리고 있다’라는 문구를 보고 있노라니 잠시 걸음을 멈추고 묵상이라도 해야 할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히게 된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방한을 두 번이나 했을 정도로 한국과 인연이 각별하다. 1984년 역대 교황 가운데 처음 방한했을 때는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땅에 무릎을 꿇고 엎드려 입을 맞췄고, 내한 인사로 논어의 구절인 ‘벗이 있어 먼 데로 찾아가면 기쁘지 아니한가’를 낭독해 깊은 인상을 남겼다. 1989년 두 번째 방한 당시에는 남북한의 화해를 바라는 평화 메시지를 전했다. 생가 박물관에도 한국과의 인연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방문한 연도와 함께 한국에서 가져온 흙이 전시돼 있다.

폴란드 쳉스토호바에 위치한 야스나고라 성 바오로 은수자회 수도원에 있는 ‘검은 성모 성화’.


쳉스토호바에 위치한 야스나고라 성 바오로 은수자회 수도원.


야스나고라 성 바오로 은수자회 수도원 내부의 성당. 사제들을 비롯해 신자들이 미사를 봉헌하고 있다.


야스나고라 성 바오로 은수자회 수도원 내부의 성당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 신자들이 서서 미사를 봉헌하고 있다.


야스나고라 성 바오로 은수자회 수도원 내부의 성당. 사제들을 비롯해 신자들이 미사를 봉헌하고 있다.


야스나고라 성 바오로 수도원

스웨덴 침략 수도사·주민 기도로 버텨



‘검은 성모 성화’ 보러 年 500만명 순례

◇‘폴란드의 영적 수도’로 불리는 수도원=바도비체를 떠나 야스나고라 성 바오로 은수자회 수도원에 도착했다. 수도원이 위치한 쳉스토호바 시내 역시 텅텅 비었다. 반면 성당 안은 미사를 봉헌하는 이들로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었다. 일부 신자들은 내부로 들어가지도 못하고 밖에서 미사를 드리고 있었다. 관광객들도 넘쳐났다. 무려 120명의 수사가 생활하는 이 수도원에는 연간 500만명에 이르는 순례객들이 방문한다.

그 이유 중 하나가 ‘검은 성모 성화’ 때문이다. 신교와 구교 간의 종교전쟁인 30년전쟁(1618∼1648년) 당시 수도원이 스웨덴 침략으로 위험에 처했을 때 수도사들과 주민들이 기도를 바치자 성화가 기적을 일으켜 수도원을 구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 성화에는 오른쪽 뺨에 두 줄의 상처가 나 있다. 이는 체코 출신의 종교개혁가 얀 후스의 가르침을 따르던 기독교 교파인 ‘후스파’가 수도원을 습격해 성물들을 약탈했던 당시 생긴 상처라고 한다. 주변국의 침략, 공산화 등 숱한 시련에도 신심을 버리지 않았던 폴란드인의 운명과 의지가 담겨 있는 듯해 숭고함을 더한다.

비엘리치카 소금광산의 조각상.


비엘리치카 소금광산의 조각상. 다 큰 말은 광산 안으로 데리고 들어올 수 없어 광부들은 망아지를 광산 안으로 데리고 와 일하는 데 사용했다.


비엘리치카 소금광산. 소금으로 만들어진 조각상들.


비엘리치카 소금광산. 소금으로 만들어진 조각상들.


19세기 중반 지하수 누출로 광산이 위험에 처했을 때 기적적으로 보존된 것에 감사하는 뜻으로 조성된 ‘성 십자가 성당’.


14세기 오래된 모든 광산법과 관습법을 개편해 소금 무역법과 소금 캐는 방법 등을 제정한 카시미르 대왕의 흉상. 새로운 법으로 광부들의 소득이 증가했으며 직업을 세습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소금 광부들은 자유롭게 일했고, 왕실 광산에서 일하는 것을 자랑스러워 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지어진 ‘성녀 킹가 성당’. 바닥, 천장, 벽의 조각 등 모든 것은 소금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이다. 매년 12월3일 즈음 이곳에서는 광부들의 수호성녀 바르바라 기념 미사가 봉헌된다. 이 기념일은 광부들에게 1년 중 가장 중요한 축제 기간이다.


소금으로 만들어진 조각상.


소금광산 내부의 조각상들. 소금을 채취하던 모습을 재현해놓았다.


소금광산 내부에 전시된 소금채취 기구들.


소금광산 내부. 나무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성 안토니오 성당’ ‘카시미르 대왕의 방’ ‘성녀 킹가 성당’ 등을 볼 수 있다.


소금광산 내부. 안쪽에 있는 암염 호수에서 나온 소금물이 흐르고 있다.


소금광산

지하 9층 327m 깊이에 방 2,000여개

죽음 마주한 광부 神에 대한 믿음 새겨

◇종교의 힘과 인간의 염원이 느껴지는 소금광산=24일에는 폴란드 남부 비엘리치카의 소금광산을 방문했다. 1966년까지 소금 채굴이 이뤄졌던 이 광산에서는 종교의 힘과 이를 따르는 인간의 힘과 염원, 폴란드인의 신심, 노동자들의 고단함이 고스란히 전달됐다. 광산 내 곳곳에 설치된 성당에서는 신에 의지하려는 인간의 무력함과 숭고함이 모두 느껴졌다.

기자가 편한 길로 내려가는 데도 지하로 갈수록 불안해지고 숨을 쉬기가 어렵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당시 광부들은 어떻게 공포감을 이겨냈을까 싶었다. 광산은 지하 9층의 327m 깊이까지 개발됐다고 한다. 일반 관광객이 볼 수 있는 곳은 지하 64~135m다. 광산 안에는 소금을 파내 생긴 2,000여개의 방이 있고, 이 모든 방을 연결하는 복도의 길이는 200㎞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컸다. 전기도 없고 기계도 변변치 않던 시절 사람의 힘만으로 이처럼 거대한 규모의 광산을 만들었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광산 안에는 ‘성 안토니오 성당’ ‘성 십자가 성당’ ‘성녀 킹가 성당’ 등을 비롯해 가장 유명한 방문자인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를 기리며 만든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방’, 광산에서 가장 오래된 전설인 킹가 공주의 이야기를 조각으로 묘사해 조성한 ‘전설의 방’ 등 화려한 볼거리가 마련돼 있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 배어 있는 것은 바로 죽음에 대한 공포, 자신과 가족의 안위를 바라는 인간의 모습이었다. 가족과 떨어져 죽음과 항상 마주하며 일했던 폴란드 광부들에게 신은 과연 어떤 존재였을까. 문득 드는 의문이었다./글·사진(폴란드)=연승기자 yeonv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