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반도체 인력 10년간 3만명 부족…"수도권 대학 정원 늘려야 해결"

■본지 첨단산업 인력난 수차례 집중조명

2021년 초부터 기획·시리즈 게재

수년간 누적된 인력난 해법 제시

정부 '인재양성 정책'에 변화 유도


반도체·배터리·자동차 등 한국 경제를 주도하는 핵심 산업에서도 인력 부족은 미래 경쟁력 확보에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수년간 누적돼 온 인력난에 기업들은 국내 대학과 계약학과를 설립하며 자구책을 마련해왔지만 부족한 인력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서울경제는 2021년 초부터 수차례의 기획과 시리즈를 통해 첨단산업 인력 부족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며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우수 인재 확충과 양성 없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경제 패권 전쟁에서 주도권을 쥘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2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반도체 제조사들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등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부족한 인력은 1년에 3000여 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대규모 투자와 국내외 증설 작업이 빠르게 이뤄지며 인력 수요가 급증하지만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협회는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향후 10년간 누적 부족 인력이 3만 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자동차 업계도 전문 인력 부족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한 미래차 전환에 가속이 붙으면서 소프트웨어(SW) 관련 인력 수요가 치솟았다. 이미 일본 도요타가 올해부터 전체 신규 채용의 40%를 SW 전문 인력으로 채우는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의 인력 쟁탈전이 본격화한 상태다.

미래차 산업에서 부족한 기술 인력은 2028년까지 6년간 4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8년에는 △친환경차 7만 1935명 △자율주행차 1만 1603명 △인프라 5531명 등 8만 9069명에 달하는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친환경차 관련 인력이 5만 532명으로 집계된 점을 고려하면 무려 3만 8000명 이상의 미래차 인력이 더 필요하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은 전자 엔지니어 및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의 확보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한국전지산업협회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배터리 석·박사급 연구 설계 인력은 1013명, 학사급 공정 인력은 1810명이 각각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등 각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들은 대학과 협력해 계약학과 개설에 나섰지만 근본적 해법은 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계약학과는 졸업 후 채용을 조건으로 맞춤형 커리큘럼을 통해 산업별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과정이다. 삼성전자는 성균관대, 연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현대차는 고려대와, LG에너지솔루션은 고려대·연세대 등과 계약학과를 설립했다. 하지만 일 년에 많아야 70명, 대다수는 그보다 적은 졸업생을 배출하며 계약학과만으로는 늘어나는 인력 수요를 감당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업계에서는 근본적으로 수도권정비계획법을 개정해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늘려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행법상 수도권 소재 대학은 ‘인구 집중 유발 시설’로 분류돼 임의로 정원을 늘리지 못하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해당 규제를 풀어 국가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학과에는 예외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대학에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는 게 업계와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회장은 “반도체 산업 규모를 따져보면 주요 대학에서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인력을 배출하는 셈”이라며 “수도권 대학에 관련 학부 신설 및 증설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규제 해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도 업계의 요구를 반영해 첨단산업 학과를 중심으로 수도권 대학 정원 증원을 검토 중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최근 SK하이닉스 이천 캠퍼스를 직접 방문해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수도권과 지방 대학의 정원을 획기적으로 늘리겠다”고 공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