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는 16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강경성 KOTRA 사장이 주재한 이날 회의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사업 환경이 격변하는 CIS 지역에서 우리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고 새로운 기획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CIS 7개 국가 10개 무역관장이 참석해 한국형 비즈니스 성공모델의 중앙아시아 확산 전략, 카프카스 3국(조지아·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의 미개척 시장 진출 전략. 한·러 경제협력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
CIS지역은 최근 공급망 재편 전환기를 맞이하면서 우리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되고 있다. 러시아는 수출통제 품목 확대 조치에도 지난해 기준 우리 중소기업의 9번째 수출국이다. 카자흐스탄은 역내 대체 생산기지로 부상하며 수출이 같은 기간 19% 증가한 23억 달러를 기록했다. ‘몽탄’(몽골+동탄) 신도시로 불리는 몽골은 수출액이 20% 증가해 역대 최대인 5억 80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철수했던 외국기업들이 복귀 및 재진출을 검토하면서 우리 기업도 시장 재진입 시기 등을 포함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KOTRA는 이에 ‘러·우 사태 비상대책반’을 운영하여 현지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사절단, 상담회 등 활동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신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인 북극항로 진출거점 육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항만·해운·물류 관련 기업들의 북극항로 진출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강 사장은 “CIS 지역은 수출 교두보로서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우리 기업의 진출과 수출 확대에 제한적인 측면이 있었다”며 “KOTRA는 수출시장 다변화의 전략적 요충지인 CIS 지역에 대한 우리 기업의 안정적인 비즈니스와 새로운 기회 창출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