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행사에 참석해 참사 유가족들과 마주했다. 대통령은 이날 유족 200여 명을 초청해 이야기를 듣고 행사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감히 어떤 말로도 위로가 될 수 없음을 알지만 국가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를 대표해 머리 숙여 깊이 사죄드렸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예방할 수 있었던 사고가 반복됐고 피할 수 있었던 비극 앞에 무력했다”며 “죽지 않아도 될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다치지 않아도 될 사람들이 상처를 입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없이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며 “이를 외면하지 않겠다. 미흡했던 대응과 변명, 회피, 충분치 않았던 사과와 위로까지. 이 모든 것을 되짚고 이제부터라도 하나하나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또한 “애끊는 그리움과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유가족들에게 국가가 또다시 등 돌리는 일은 이재명 정부에서는 결단코 없을 것”이라며 “오늘 전해주신 말씀 전부 철저히 살펴보고 가능한 영역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이 대통령은 글 말미에 “304. 159. 14. 179.”라는 숫자를 남기며 “저마다의 이름과 꿈을 안고 스러져 간 656개의 우주. 기억하겠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라고 강조했다. 해당 숫자는 각각 세월호 참사(304명), 이태원 참사(159명), 오송 지하차도 참사(14명), 무안 여객기 참사(179명)의 희생자 수를 의미한다.
이번 간담회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계기로 마련된 자리다. ‘세월호 변호사’로 알려진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여당 의원들, 국토교통부·보건복지부·해양수산부·고용노동부 등 관계 부처 인사들도 함께했다. 대통령실에서는 강훈식 비서실장과 문진영 사회수석이 자리했다.
이날 행사를 계기로 정부·여당이 추진하는 생명안전기본법 논의에도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이 법은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국가와 지자체가 국민의 생명을 지킬 법적 의무를 명시하고 대형 참사 발생 시 독립 조사기구를 설치해 진상을 규명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