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원훈이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의 ‘정보(情報)는 국력(國力)이다’로 복원됐다.
국정원은 17일 오전 원훈석 제막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제막식에는 이종석 국정원장과 직원 대표들, 전직 국정원 직원 모임인 양지회의 장종한 회장이 참석했다.
복원된 원훈은 김대중 정부 시기인 1998년 5월 직원 의견수렴과 국민 공모를 거쳐 채택된 2대 원훈으로 국가발전 원동력으로서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초기인 중앙정보부와 국가안전기획부 시절에는 ‘우리는 음지(陰地)에서 일하고 양지(陽地)를 지향(指向)한다’가 부훈으로 줄곧 쓰여왔다.
국정원은 원훈 복원 배경에 대해 “국민주권정부 시대를 맞아 국민의 국정원으로 발전해 나가자는 의지를 반영하고 실사구시 관점에서 국익·실용을 지향하는 정보의 중요성이 잘 담긴 해당 원훈의 복원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원훈석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친필 휘호를 바탕으로 당시 제작된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길이 5.6m, 높이 2.7m, 두께 1m 크기의 화강석 재질이다.
이 원장은 제막식에서 “정보 지원으로 안보와 국익을 뒷받침하는 국정원의 책무와 역할이 이 원훈 속에 다 담겨 있다”며 “직원 모두가 이 원훈을 마음에 새겨 정보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국익수호에 매진하자”고 했다.
국정원 원훈은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바뀌는 바람 앞의 등불 신세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자유(自由)와 진리(眞理)를 향한 무명(無名)의 헌신’이, 박근혜 정부에서는 ‘소리 없는 헌신(獻身), 오직 대한민국 수호(守護)와 영광(榮光)을 위하여’가 각각 쓰였다.
문재인 정부에선 5대 원훈에 해당하는 ‘국가와 국민을 위한 한없는 충성과 헌신’으로 다시 바뀌었고, 윤석열 정부에서는 중정·안기부의 원훈으로 되돌아갔다. 결국 이재명 정부에서도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원훈으로 복원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