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소상공인들을 돕기 위해 자금 지원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에 나선다. 또 공공배달서비스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를 위해 전용 상품권을 300억 원 규모로 발행하고, 소상공인에게 산재보험료를 지원하는 등 소상공인용 사회안전망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의 하반기 지원을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정책은 금융지원에 경영, 투자, 사회안전망까지 포함하는 현장 체감형 정책으로 자영업자들의 자생력을 높여주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원 정책은 △공공배달 서비스 '서울배달+땡겨요' 활성화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3종 지원 △성장형 소상공인 투자 펀드 신설 △중소기업육성자금 확대·금리인하 △서울신용보증재단 조직개편 등이다.
우선 시는 ‘서울배달+가격제’를 순차적으로 도입해 이달부터 최대 30%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비용은 서울시·신한은행·프랜차이즈 본사가 분담하며 피자·햄버거 등 타 업종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땡겨요의 자체 배달서비스 '땡배달'은 오는 30일 서울 중구부터 시범 도입한다. 또 다음달부터는 15%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 가능한 땡겨요 배달전용 상품권도 300억 원 발행한다.
이와 함께 자영업자 '안심 3종'으로 영세 소상공인 사회안전망을 강화한다. 시는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와 실업급여 자영업자 고용보험료에 이어 지난달부터 자영업자 산재보험도 지원을 시작했다.
또한 서울시는 50억 원 규모의 소상공인 전용 '더성장펀드'를 신규로 조성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 소상공인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업가형 소상공인 양성을 목표로 업체 당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융자, 크라우드펀딩, 판로개척 등 성장 지원 프로그램도 병행할 방침이다.
특히 서울시는 중소기업육성자금 규모를 기존 2조1000억 원에서 2조4200억 원으로 확대한다. 추가 자금은 미국발 관세 조치 대응을 위한 수출기업 경영안정자금 1000억 원과 서울배달상생자금 200억 원을 비롯해 마이너스 통장 방식으로 소액·긴급 자금을 지원하는 안심통장 2호 2000억 원 등이다.
시설자금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해 고정금리 3.3%에서 2.8%로 0.5%포인트 인하하고, 원금 상환 유예기간도 6월 말에서 연말로 연장했다.
이와함께 서울신용보증재단 전 지점을 '종합지원센터'로 개편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서울신보는 금융지원 중심에서 소상공인이 겪는 경영 애로 사항인 세무·노무·마케팅·디지털 전환을 종합 지원하는 모델로 바뀔 예정이다.
이해선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경제 뿌리인 소상공인이 위기를 차질 없이 극복해 지역경제를 살리는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하반기에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경영 전반에 대한 통합지원과 핀셋형 지원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