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사상 첫 상용근로자 100만 명 시대를 열었다. 단순한 수치가 아닌 일자리의 ‘질적 도약’이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부산의 상용근로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만 3000명 증가한 100만 3000명으로, 사상 첫 100만 명을 돌파했다. 박형준 시장은 17일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지역 기업과의 간담회에서 “단순한 취업자 수 증가가 아니라, 일자리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된 것”이라며 “부산 경제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평가했다.
상용근로자는 고용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뜻한다. 이번 통계는 부산 임금근로자의 약 4분의 3이 상용직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질의 고용’이 본격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용률 또한 역대 최고 수준이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0%, 15~64세 고용률은 68.5%로 모두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2.6%로 6월 기준 사상 최저 수준이다. 인구 감소와 경기 둔화 속에서도 이 같은 흐름은 이례적이다.
이같은 성과는 시가 민선 8기 이후 추진해 온 산업 구조 개편, 전략적 투자유치, 디지털 인재 양성, 청년 정책 강화 등의 노력 덕분으로 풀이된다. 박 시장은 “14조 원에 달하는 기업 투자를 지난 3년간 유치했고 올해만 해도 이미 3조 원을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특히 삼성중공업·한화오션·현대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의 연구개발(R&D) 센터를 부산에 유치하며 첨단 제조업 기반을 구축했다.
제조업 고용 증가도 눈에 띈다. 전국적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부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만2000명 증가했다.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도 성과를 내고 있다. ‘부산 디지털 혁신아카데미’를 통해 내년까지 ICT 고급인재 1만 명 양성을 추진 중이며 AI, 정보보호, 양자기술 등 미래 산업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통해 5년간 1조 원을 투입해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인재를 육성하는 구조도 구축하고 있다.
청년 일자리뿐 아니라 시니어, 경력단절 여성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일자리 정책도 확대 중이다. 시는 전국 최초로 ‘시니어 맞춤형 일자리 지원 플랫폼’을 개소해 장노년층의 고용 접근성을 높였다.
박 시장은 “좋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 청년이 돌아오고 머무는 도시, 시민이 꿈을 펼치는 도시 부산을 만들겠다”며 “청년에게 꿈과 기회가 열리는 상용근로자 150만 시대, 일자리 도시 부산을 향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