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과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최대 400㎜가 넘는 '극한호우'가 쏟아진 가운데 이번에는 지상으로 낙뢰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낙뢰는 구름에서 땅으로 치는 번개로, 간밤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비가 내렸던 충남 서산의 관측 장비가 파괴되고 충북 충주의 한 물류창고에서는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17일 기상청은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에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거센 비가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현재 중부지방과 전북 북서부, 경남 등 호우특보가 내려진 지역을 중심으로 시간당 강우량 20∼60㎜ 안팎 호우가 이어지고 있다. 경남 함양에는 오전 8시 54분까지 1시간 동안 70㎜ 비가 쏟아지기도 했다.
◇ 400㎜ 넘는 ‘극한호우’…충청권 하늘에서 공기 충돌
기상청에 따르면 16~17일 양일간 충청권에서 1시간만에 114.9㎜의 폭우가 쏟아지는 등 누적 400㎜가 넘는 극한호우가 발생한 원인은 북태평양고기압 등의 영향으로 남서쪽에서 북상해 들어오는 수증기를 북서쪽에서 내려오는 건조공기가 압축시킨 탓이 크다.
성질이 다른 두 공기가 충돌하는 지점이 경기남부와 충청권이어서 이 지역들에 특히 비가 거세게 쏟아지는 상황이다. 이날 오전 8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충남 서산 419.5㎜, 홍성 410.1㎜, 당진(신평) 372.0㎜, 태안 347.5㎜ 등으로 충청권에 비가 집중됐다.
이런 구조는 낙뢰(벼락)도 일으킨다. 낙뢰는 구름에서 땅으로 치는 번개를 말한다. 번개는 보통 구름 위쪽에 있는 양(+)전하를 띈 입자에서 구름 아래쪽이나 지표면에 있는 음(-)전하 입자로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가 방출되는 현상이다.
작은 얼음알갱이나 물방울 등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서로 부딪히고 마찰하는 과정에서 입자의 특성에 따라 전하가 다르게 축적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가벼운 입자는 전하를 얻어 양전하를 띠고 온도가 높고 무거운 입자는 전하를 잃고 음전하를 띤다. 그러면서 구름 상부는 양전하 영역, 하부는 음전하 영역이 된다.
현재 남서쪽에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들어오며 고도 10∼13㎞까지 발달한 구름 내로 건조공기가 침투하면서 구름 내 수분이 증발, 해당 구역의 기온이 뚝 떨어져 얼음알갱이와 물방울이 공존하는 구간이 만들어졌고 그러면서 전하분리가 일어나 호우와 함께 번개도 치고 있다.
간밤 전국에서 비가 가장 많이 내린 충남 서산의 강수량이 이날 오전 5시 이후 집계되지 않고 있는 원인도 관측장비에 낙뢰가 내리쳐 장애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 오전 8시 9분께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한 물류창고에서는 낙뢰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했다.
◇한 해 낙뢰 총 14만5784회…6건 ‘심정지’ 사고도
낙뢰는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육지에 내려친 낙뢰는 총 14만5784회였다. 소방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낙뢰로 119구급대가 출동한 건수는 31건인데 이 가운데 6건(19.4%)은 '심정지' 사고였다.
낙뢰가 칠 때는 '30-30 규칙'을 지켜야 한다. 이는 번개가 치고 30초 내 천둥이 울리면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마지막 천둥이 울리고 30분이 지난 뒤 움직여야 한다는 규칙이다. 번개가 번쩍하고 30초 내 천둥이 울렸다면 매우 가까운 곳에서 번개가 쳤다는 의미다. 만약 번개를 보고 15초 내 천둥소리를 들었다면 약 5㎞ 거리에서 번개가 쳤다고 생각할 수 있다.
낙뢰가 예상될 땐 우산·등산스틱·골프채 등 낙뢰를 유도할 수 있는 긴 물건은 몸에서 떨어뜨려야 한다. 나무나 정자는 낙뢰를 차단하지 못하고 오히려 맞기 쉬우므로 그 아래로 피해서는 안 되며 건물이나 자동차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차라리 낫다.
집에서는 전자제품 플러그를 뽑아둬야 한다. 재산 피해는 피뢰침 등 피뢰설비를 설치하면 대부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적극 권장된다.
기상청은 오는 19일까지 충청권과 경기 남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최대 300㎜ 이상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18∼19일 이틀간 예상 강수량은 광주·전남·부산·울산·경남 100∼200㎜, 충청 50∼150㎜, 전북과 제주 50∼100㎜, 수도권·강원내륙·강원산지·대구·경북 30∼80㎜, 제주북부 20∼80㎜, 울릉도와 독도 10∼60㎜, 서해5도와 강원동해안 5∼20㎜이다.
기상청은 폭우와 강풍으로 하천 범람, 산사태, 낙뢰, 교통·감전 사고 등 추가 피해 가능성이 있으니 저지대와 강가, 지하차도 등 위험지역 접근을 자제하고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